북한이 환경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한다.
북한의 환경문제 발생과 진행, 북 당국의 대처 등을 보면 우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그랬듯이 북한도 지난 60년대부터 공업화를 본격 추진하면서 환경은 뒷전에 밀려난 상황이었다. 당시 제1차 7개년계획으로 중공업 우선정책을 추진하면서 중화학공업단지 건설, 광산개발 등 오로지 개발과 생산 증대에만 치중하면서 물과 공기는 심각한 수준으로 오염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중화학공장이 밀집한 함흥, 청진 등에서는 주민들이 오염으로 인한 심각한 각종 질환을 호소하는 수준으로까지 환경이 악화됐다.
설상 가상으로 근년 들어 황사로 인한 환경오염, 주민 및 농작물, 시설물 피해까지 북한을 괴롭히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황사발생이 잦아지고, 그에 따른 피해가 확대되면서 북한은 주민들에 황사의 발생원인과 발생지역, 사람과 농작물, 기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금년에는 하루에도 몇차례 라디오방송과 TV를 통해 황사예보를 내보내고, 정규 프로그램 화면에 황사관련 내용을 자막으로 전하는 등 특별한 관심과 노력을 보이고 있다.
북한당국은 80년대를 한참 들어서서야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86년 4월 환경보호법을 제정한 이후, 95년 환경보호법 시행규정, 97년말 바다오염방지법, 98년 국토환경보호단속법 등을 계속 채택한 바 있다.
특히, 지난 95년 대홍수로 인한 피해를 입고 나서부터는 해마다 두 차례 대대적인 환경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들어 북한은 예방책 제시 등 환경문제에 대해 보다 차원 높은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북한 기관지를 통해 강과 하천을 보호하기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강조하면서, 공장폐수 등이 강 등에 유입되면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 개발 노력을 부각시켰으며, 생물농약 및 생물비료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도 있다.
그러나 북한의 환경오염 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어려운 경제상황을 볼때 환경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북한은 언젠가는 통일돼 하나가 돼야 할 우리 한반도의 반쪽이다. 북한의 환경문제는 결코 남의 일일 수 없으며 북한이 오염되면 또한, 그 여파가 당연히 우리에게 미친다는 것도 상기해야 한다. 북한 환경살리기, 환경지키기에 남쪽이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우린 북한에 앞서 유사한 경험들을 겪어왔다.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환경을 지키도록 도울 수 있다. 정부는 민간학회, 단체를 중심으로 민간교류 차원에서 우리가 가진 환경기술을 북한에 지원하고, 자연스레 교류할 수 있도록 지대한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 북한의 환경위기를 남북환경교류의 기회로 만들어 보자.
북한을 푸르게 하는 것이 결국 대한민국, 한반도를 푸르게 하는 것이다.

편집국장 김익수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