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파 파악 못하고 데이터 노후화, 예산도 배정 안 돼

[환경일보] 기상청에서 빅데이터 융합을 통해 개발한 지역기상융합서비스의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활용률이 4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안호영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에서 개발한 지역기상융합서비스 51개 중 23개만 활용되고 있다. 이 중 28개 서비스는 성과 없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활용 서비스를 전수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는 강원지방기상청이 6개로 가장 많았고 ▷제주 5개 ▷부산 4개 ▷광주‧대전 3개 ▷대구 2개 ▷전주지청 1개 순이고 자체 연구 목적이 4개로 확인됐다.

활용성 감소 주요 원인으로는 민간 기상기업 기술 이전 후 기상 영향인자, 임계값, 개발 알고리즘 노후 등 빅데이터 가치 감소로 업데이트 불가능 때문이었다.

특히 강원도 지방 기상청이 주관한 특정 사업은(시설재배 농가에 지역기후정보 제공과 경제성 평가(2011~2012))는 농사를 짓는 고령 인구가 52%가 넘어 컴퓨터를 활용하기도 힘든 상황인데도 정확한 수요조사 없이 개발됐다.

또한 제주지방기상청에서 주관한 ‘제주해녀 안전조업을 위한 기상해양 융합서비스(2018)’는 최근 기후 및 환경변화로 인해 알고리즘 노후화 및 비즈니스 기회 미확보로 수요기관의 기초 연구자료 또는 기술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제공=안호영 의원실>

지역기상융합서비스는 온실가스 증가 등으로 기후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기상청이 주관하고 기상자료와 다른 분야자료의 빅데이터 융합을 통합해 개발한 서비스로써 2011년 처음 개발됐다.

기후변화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농업 부분에서의 기상은 중요하다.

기상은 과수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기후변화의 추세인 기온 상승은 이른 개화와 정상적인 생육을 방해하는 등 생육 시기와 재배 환경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기상청은 기상서비스의 수요파악이나 예산수립도 제대로 안 된 채 사업을 시행해, 저조한 사업성과를 낸 것이다.

이에 안호영 의원은 “기상청은 서비스를 개발하기 전 단계에서 수요기관의 활용 의지와 유지관리 예산 등을 검토한 후 추진해야 한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들이 실제 지역맞춤형 기상서비스를 수요에 걸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고 시정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종석 기상청장은 “스마트팜과 관련 지방 대학과 협력해 교육을 하고 있다. 학교 내 강의하고 수업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며 “지역기상융합서비스 효과에 대한 실증검사를 통해 지속적인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