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와 같은 재난 대응의 부실로 연결될 우려 커
최근 5년간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장비 확충 예산 0원

[환경일보]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기상을 관측하고, 수치예보모델에 사용되는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턱없이 부족한 것하고 지역별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대의 AWS가 담당하는 관측지역(조밀도)이 서울은 16.36㎢ 반면, 대구의 경우 176.70㎢으로 최대 10.8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36대가 설치됐지만, 서울보다 더 넓은 대구는 고작 5대만 설치됐다.

세계기상기구(WMO)는 국지예보와 같은 고해상도 수치예보모델 운영에 있어 정확한 강수량 예측을 위해 최소 10㎞의 해상도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 경북 등 6개의 광역시도는 이 기준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국지예보 연계 자동기상관측망 설치 현황 <자료제공=양이원영 의원실>

국지예보는 한반도 영역을 집중적으로 수치 모의해 폭우, 폭설, 폭염 등 위험기상 예측. 현재 1.5㎞ 해상도의 UM기반 국지예보모델(LDAPS)을 통해 초단기(4시간), 단기(3일) 예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관측망 격차는 올해 장마와 같이 좁은 지역에서 급격히 발달하는 집중호우에 대한 실시간 감시와 예측에 차이를 불러오게 돼 재난 대응의 부실로 연결될 수 있다.

현재 전국에 설치된 방재관측용 AWS는 1654개이다. 하지만 기상청에 연계돼 수치예보 자료로 활용되는 개수는 기상청, 산림청, 경기도가 운영하는 1088개, 66%에 불과하다.

기상청 외 다른 기관이 설치한 AWS만 보면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45%(464개/1030개)에 불과하다.

기상표준화법에 따라 기상청장은 기상관측자료의 상호교환 및 공동 활용을 추진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행실적이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기본 관측요소별 해상도 요구사항(고해상도 수치예보모델 기준 <자료제공=양이원영 의원실>

기상청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1023억원을 투입해 전지구 예보모델만 개발된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을 고도화해 해상도 1㎞의 국지 예보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발 중인 국지 예보모델에 필요한 관측망 해상도는 5㎞로 약 4000대의 AWS가 필요하다. 관측망 확대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개발 중인 국지예보 모델의 정확도에도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기상청이 제출한 ‘최근 5년간 기상관측장비 교체 및 확충 현황’에 따르면, 매년 20억 수준의 교체 예산만 반영돼 있을 뿐 관측망 확대 예산은 한푼도 없었으며, 내년도 예산도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AWS관측시설 현황 <자료제공=양이원영 의원실>

12일 열린 기상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양이원영 의원은 “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성호우와 같은 위험기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서 기상청은 대응이 매우 부실하다”며 “국민의 안전을 위해 방재관측망 확충과 같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종석 기상청장은 “자구책으로 지자체 설비를 확충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관측망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