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투자 최우선지역 선정, 시범 프로젝트 추진
한·중 공동기술개발 현지시장화 등 15개 과제 제시

글로벌 시대로 접어들어 국내 환경산업체의 중국시장 진출을 노린 우리 정부의 포괄적인 밑그림이 완성됐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연 20%대로 급성장하는 중국 환경시장에의 진출을 활성화하고자 ‘환경산업 대중국 진출 촉진전략’을 마련, 이같이 발표했다.
그동안 한·중 환경산업센터 운영, 환경산업투자포럼의 개최 등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단계별 추진에서 과감하게 탈피, 보다 체계적이며 통합적인 정부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추진 전략은 두 차례의 업체·전문가 합동토론회와 환경부장관-환경업체CEO 간담회,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업계의 애로점을 파악, 이를 해소·지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 역할은 물론, 관련 프로젝트는 중국 환경시장의 현황, 국내외 진출여건, 세부전략과 추진일정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중국 내에서도 시장 전망이 높은 10개 성과 시를 선정해 각 지역별 시범 프로젝트를 1 개씩, 총 10개를 발굴해 활성화시킬 구상이다.
해당 진출지역은 중앙 정부의 투자정도, 경제규모, 교류·협력관계를 고려하고 전문가와 업체의 의견을 함께 수렴해 상해시, 요녕성, 북경시 등 10개 지역으로 분류했다.
또한,수출 유망기업의 자금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계부처, 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수출금융 등 다양한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중 공동기술 개발을 통해 우리 기술의 현지 시장화 역시 효율적으로 추진하되, 양국 기업·정책 정보에 대한 공유 시스템을 마련할 방침이다.
나아가 중국 시장정보의 수집·제공기능 강화, 한국 환경산업·기술 지방순회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시장 진입을 가로막는 장벽을 제거키로 했다.
그 밖에 중국 진출을 위한 국내기반을 강화하고자 환경산업 육성책을 병행하며, 미래 환경기술개발에도 계속 주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내 환경기초 시설의 투자가 어느 정도 완비돼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국내 환경시장의 성장률이 저하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중국을 기점으로 세계 환경시장에 적극 진출,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시범 프로젝트의 성공적 이행을 통해 침체된 환경산업의 수출 전략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강재옥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