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세본사랑병원>
<사진제공=연세본사랑병원>

[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요추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과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허리 통증 발생 시 가장 먼저 떠올리는 두 척추 질환이 바로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다. 하지만 두 질환의 발병 매커니즘 및 임상적 양상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이들이 드문 것이 현실이다.

먼저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 자리한 추간판(디스크)이 어떤 이유로 손상돼 발병하는 질환이다. 추간판이 강한 압력을 받아 내부 수핵이 돌출되어 주변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조직인 척추관의 뼈, 디스크, 주변 인대 조직이 퇴행성 변화에 의해 비대해져 척추 내부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두 질환의 발병 기전이 다른 만큼 원인 및 증상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허리디스크는 무거운 물건을 오래 들고 있거나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 등 척추에 무리가 되는 행동들을 할 경우 발병하기 쉽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주변 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병하는 만큼 고령층 환자 사례가 많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또 허리디스크는 누운 자세에서 통증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허리를 움직일 때 재차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누운 상태에서 일어나기 힘들 정도로 허리 통증이 심해지나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허리 운동이 부드러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의 공통점도 존재하는데 치료 후 재발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허리디스크는 탈출한 추간판을, 척추관협착증은 협소하게 변한 척추관을 넓히는 것이 주된 치료 목적이다. 다만 치료 전 진단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통증 및 병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 해 재발을 야기할 수 있다. 또 인체 노화에 따른 회복 지연, 고령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 심리적인 문제 등도 척추 질환 재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세부적으로 살필 때 두 질환의 재발 포인트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정상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추간판이 재탈출하여 재발을 초래하는 사례가 많다. 특히 허리디스크 통증 주범인 수핵의 제거가 완벽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통증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뼈가 자라나는 골극 현상을 경계해야 한다. 골극이란 골 변연부에 발생하는 일종의 과생장된 골융기 현상으로 뼈가 돌기처럼 자라나는 것을 말한다.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척추관에 골극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척추관을 확장시켜도 언제든지 통증 재발이 나타날 수 있다.

골극이 발생하여 통증을 겪는 척추관협착증 환자라면 해당 골극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 통증 리스크에 시달려야 한다. 게다가 방치하면 방치할수록 주변 조직의 손상이 커지고 골극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병변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때 외과적 수술 치료를 통해 골극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연세본사랑병원 척추클리닉 강정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치료 시 미세 구멍을 두 군데 만들어 초정밀 내시경 및 수술도구를 삽입해 치료하는 원리인 투포트내시경수술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병변에 대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근본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며 "내시경에 의한 시야 확보가 용이해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골극현상 진단도 용이한 것이 강점"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