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시민사회 탈탄소 실천, ‘녹색영향력’ 전해야

지구는 기후변화를 이미 넘어 기후위기에 처해 있다. 도저히 회복할 수 없어 보이는 기상이변과 자연재해들이 지구촌 곳곳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답은 하나다. 탄소배출을 파격적으로 줄이는 일이다.

그런데 이 일에는 기존의 이익과 편리함을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는 큰 전제가 따른다. 내가 잘해도 상대가 안하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결국은 협업이다.

기후위기는 포용적 협업을 통해서만이 극복할 수 있는 인류 최대의 과제다. 국가 간 타협과 협력이 필요하며, 국가 내에서도 정부와 기업, 민간 모두가 손잡고 나서야 한다.

안타깝지만 아직까지도 대한민국에서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은 매우 약하다. 수없이 많은 전문가들의 외침에도 불구하고 남의 일로 보고 기업들은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

5월30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2021 P4G 서울 정상회의(녹색미래 정상회의)’가 열린다.

201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1차 정상회의가 개최됐고, 지난해 한국에서 개최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1년 연기된 바 있다.

‘2021 P4G’는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환경 분야 정상회의이며, 올해가 파리협정 이행 원년이자 2050 탄소중립의 막이 오른 해라 더욱 의미가 깊다.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관계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P4G는 정부가 혼자 추진하는 ‘정부 대 정부’ 회의가 아니다. 기업과 시민사회 등이 모두 함께 참여하는 융합형 실천 조직이다.

기후위기시대 민관이 협력하는 포용적 플랫폼의 역할을 하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나누고 실천을 중요시한다.

기후위기는 투자를 해도 당장에 이익이 나오지 않고 불확실한 미래를 겨냥하는 것이라 국가적 인내가 필요한 과제다. 재차 강조하지만, 절대적으로 협업이 관건이다.

정부는 기후위기를 극복할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해 기업의 녹색투자를 유도하는 등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방향을 제시하면서 큰 그림을 유지하면 기업은 투자하고 시민사회는 행동하는 모양새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계속 확인 강조하고, 기업은 ‘RE100’을 실천하고, 시민사회는 ‘쓰레기 제로’ 행동에 나서는 것이다.

특히,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미 국제사회는 기업의 파격적인 변신을 요구하면서 투자의 전제조건을 ‘녹색’으로 달고 있다.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탄소중립을 목표로 투자와 전략을 ‘그린 리모델링’ 해야 한다.

‘2021 P4G’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에 새로운 녹색질서가 세워지길 기대한다. 모두가 현재와 미래에 책임감을 갖고 자기 영역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해야 한다.

‘녹색 영향력’이 국내를 넘어 개도국들에게도 전해지고 또 그들의 손을 맞잡고 함께 지속가능발전을 이뤄가길 간절히 기대한다.

탄소중립은 환경친화적인 활동을 넘어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