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서울에서는 지금의 동대문운동장 부근에 공터를 두고 쓰레기장으로 사용했다. 이렇게 모아진 쓰레기는 한때 소각로를 설치해 소각시키기도 했지만, 쓰레기에 토사가 많이 섞여 설치를 중지했다.
이후 광희문 밖, 독립문 밖 등 편리한 장소에 쓰레기를 매립했는데, 당연히 인근 주민들은 악취와 파리, 모기 등에 시달렸다. 서울이 계속 발달하면서 광희문 밖 쓰레기처리장은 폐지할 수밖에 없었고, 경성부에서는 모아진 쓰레기를 여름에는 태우고 겨울에는 비료로 만들어 한포에 30전씩 판매해 수입으로 삼기도 했다.
점점 쓰레기 양이 늘자 경성부에서는 쓰레기 적게 버리기 운동을 실시했다. 그 내용은 토사, 자갈, 기와조각은 쓰레기와 함께 버리지 말것, 불에 타는 것은 연료로 사용할 것, 폐품이나 부엌쓰레기는 재생해서 사용할 것 등이었다. 이런 기록들을 보면 과거 우리 조상들도 쓰레기 처리에 상당한 고민을 했던 흔적이 역력하다.
몇 해전 유행처럼 서울시 각 자치구별로 쓰레기 소각장 열풍이 불었다. 이제 남의 눈치 안보고 내 구역에서 보란 듯 쓰레기를 처리하겠다는 생각이었다. 서울시는 목동, 상계동, 일원동 소각장을 1996년부터 차례로 건설해 민간에 위탁 운용해오고 있다.
그런데 소각장 가동률에서 문제가 생겼다. 정확한 예측 없이 마구 지어댄 이들 시설의 하루 평균 가동율은 25%도 되지 못한다. 쓰레기 반입수수료나 열에너지 판매수입도 적자라는 의미다. 경제성이 없어 서울시에서 막대한 금액을 지원받고 있다.
해당 자치구의 쓰레기만 반입해서는 필요한 물량을 충족할 수 없는데도, 처음 소각장을 계획할 때 주민 반대를 무마하기 위한 조건으로 타지역의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약속한 경우도 있었다.
쓰레기종량제 도입,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재활용 활성화 등의 노력에 힘입어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들 것을 사전에 예측하지 못한 잘못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작년 말 기준으로 서울시는 일평균 1만2천여톤 발생하는 생활쓰레기중 반 이상을 재활용하고, 약 40%를 매립하며, 약 5-6% 정도를 소각처리하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상암동 마포소각장의 경우, 서울시는 3-5개 자치구의 쓰레기를 반입해 처리하는 자치구 공동이용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광역화를 위해 소각장 인근 주민협의체의 승인을 받아 내는 것 역시 쉽지 않은 과제다. 그 이유는 작년 노원소각장에서 다이옥신 배출농도 조작논란이 확산되면서 주민들의 소각장에 대한 의식이 더욱 배타적이 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마포소각장 건설만이 중구와 용산구의 쓰레기 문제까지 해결하기 위한 최선안이라고 결론 내리기전에 타지역의 기존 소각장 가동률을 확인했어야 했다. 주민반대문제도 주민에 대해 이해를 넓히기 위해 더욱 노력했어야 했고, 보상 역시 충분한 수준으로 맞춰야 했다. 이것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최선의 방법이었다. 한때 두 개 자치구가 서로 폐수처리시설과 소각시설을 ‘빅딜’형식으로 공유해 효과를 본 적도 있었듯이, 경제성을 고려해 자치구를 몇 개씩 묶도록 노력했어야 했다.
주민들을 지역이기주의라고만 몰아갈 것이 아니다. 주민의 마음을 얻으려면 투명성과 책임의식을 전제로 꾸준히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그것이 가장 경제적임을 왜 아직도 인정하지 못할까.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