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어렵다고 걱정들인데, 특히 건설경기가 좋지 않아 문제다. 건설업에 관련된 분야가 많고, 또 파급효과도 크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주요 건설자재인 바닷모래(해사) 채취를 금지하는 행정조치가 잇따르고 있어 건설자재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최근 한 지자체는 환경운동단체가 해사채취업체들이 불법으로 해사를 채취해 어족자원을 고갈시키고 자연생태계를 파괴시킨다는 주장 및 중단요구에 따라 해사 채취를 금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수도권에서 소요되는 모래의 70% 가량을 공급해온 인천지역 골재업체들은 채취를 중단한 상태이며, 모래가격은 두 배 가까이 폭등하는 등 ‘골재난’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합법이건 위법이건 바닷모래 채취는 환경운동가들에게는 비난의 대상이다. 해사 채취로 인해 인천 연안해역의 경우 연평균 어획량이 7년간 약 40~70% 감소됐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물론 어자원 급감현상이 오직 모래채취로 인해 발생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모래 채취로 인한 조류의 변화로 저산소 현상과 서식지 파괴 및 산란장 유실로 이어질 수 있음은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다. 여하튼 건설업계는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실정에 양수 겹장을 받은 모양새다. 그런데 이것을 오히려 환경도 살리고 경제에도 보탬이 되는 호기(好氣)로 보면 어떨까. 건설폐기물을 적극 재활용하고, 바닷모래 사용도 줄일 수 있는 기회로 말이다.
골재수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책은 당연히 건설폐기물 재활용이다. 정부에서도 2005년까지 수도권지역에 1만5천평의 부지를 확보해 재생골재 생산 유통기지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건설폐기물 발생량이 2010년에는 1억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바, 이의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는 환경과 경제의 두 측면에서도 필수불가결한 사항이 아닐 수 없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은 매립지의 한정된 수명을 연장시키는데도 크게 기여할 뿐 아니라 건설공사의 골재비용을 절감하며, 또한 천연골재 채취로 인해 발생할 자연환경 훼손까지 방지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유념해야할 부분이 있다. 건설폐기물을 목적대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전과정에 대한 배려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즉, 건물이건 교량이건 처음 해체부터(파쇄가 절대아님) 선별을 잘해서 시행해, 소각이나 매립 처리할 것은 적법처리하고,  재활용할 것은 재활용하며, 특히 골재의 경우 사용 용도별로 분류, 파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다면 독일의 선례에서와 같이 충분히 양질의 재생골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재생골재를 ‘싼 맛에 쓴다’는 식의 저가정책으로 몰고 가서는 안된다.  재생골재 사업이 돈이 되도록 해줘야 건설폐기물이 제대로 재생골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건설폐기물로 만든 완제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수억씩 사비를 들여 개발한 재생제품에 대해 정부의 배려는 아직도 미약한 수준이다. 기술을 개발해도 사장되지 않도록, 재생골재제품은 못믿겠다는 식의 의식은 하루 속히 전환돼야 한다. 건설폐기물이 자원으로 다시 태어나느냐 쓰레기로 버려지느냐는 모두 우리의 책임이다.

[제109호 2004년 3월 10일 수요일]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