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청장 이승재)과 국립환경연구원(원장 윤성규)은 3월 10일 국립환경연구원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에서 위험·유해물질(HNS)의 해상사고 시 신속하고 과학적인 대응을 위하여 공동대응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위험·유해물질(Hazardous and Nuxios Substances)은 우리나라 전체 해상물동량 7억8천만톤 중 1억4천만톤(18%)을 차지하고 있다. 연안 석유화학공단 등으로 운송되는 6천여종의 위험·유해물질(HNS)은 독성, 폭발성, 인화성, 발화성이 높은 물질들로서 위험·유해물질(HNS)을 적재한 선박의 충돌, 좌초가 발생될 경우에는 물질의 특성상 대형사고로 확산 될 우려가 있으며, 각각의 물질 특성과 대응방법이 달라 사전 정보 확인없이 현장 대응 시 인명사상 및 사고 확대 우려가 많다.


특히 9.11사태 이후 해상운송 HNS적재선박을 표적으로 하는 테러위험성이 높아지고 국제적으로 위험·유해물질 대비·대응 및 협약에 관한 협약(OPRC-HNS)에 10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15개국이 가입이 되면 발효가 되는 내년도에는 발효가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국제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청과 국립환경연구원은 HNS해상사고 시 해상특성에 꼭 맞는 대응체제구축의 필요함을 공동인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위험·유해물질(HNS)정보관리는 국립환경연구원 「화학물질정보시스템」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는 HNS물질정보, 유출사고 초기 위험도 평가모델, 상세확산평가 모델 등으로 구성되어 사고현장에 대응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육상중심의 정보관리시스템이다.


양 기관은 육상 대응중심으로 운영중인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을 해상 사고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경위도 좌표의 전자해도와 대한민국의 해류, 조류, 연안류 등의 해류흐름 및 해상기상상태 등 여러 가지 해상정보를 추가한 대응시스템을 개발하여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합의하였다.


앞으로 해양경찰청에서는 HNS사고 및 기름유출사고 대비·대응 시스템 재구축을 위해 3년간 8억원의 예산을 투자와 T/F팀(5개기관 15명의 전문가)을 5개팀(대응시스템구축, 안전관리, 현장대응, 대응메뉴얼개발, 교육훈련팀)을 구성하여 정말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방제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위험·유해물질 해상유출 사고시 물질위험정보, 위험지역예측 해결방법 등을 실시간으로 현장지휘관과 경비함정, 구조대원에게 제공하여 체계적인 구난·방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해양경찰청은 해상에서의 기름유출사고 중심의 해양오염사고 대비·대응체제에서 위험·유해물질(HNS) 사고 대비·대응 업무까지 확대하는 체제로 되는 것이다.


해양경찰청은 이로써 해상에서 기름유출사고 중심의 대비·대응체제에서 위험·유해물질(HNS) 사고까지 확대 대비함으로서 인명구조, 화재진압, 방제조치 등의 한층 더 높은 해상 재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조수경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