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제가 시행된지도 어느새 넉달째에 다다르고 있다. 그간의 우려와는 달리 점차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이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많아진게 사실이지만 아직도 2%가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난주 제주에서 열린 ‘음식물류 폐기물 담당공무원 연찬회’에서 다시 한번 이번 제도의 전국적인 성과를 재차 확인하고 돌아 온 김두환 과장을 만나봤다.








ⓒ환경방송

“직매립금지제를 시행에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성공할 수 없는 정책이라며 우려와 비난의 목소리를 보냈었죠. 저 역시 많은 걱정의 시간을 보냈었지만 기대가 적어서 그런지 큰 효과를 본 것 같아요. 물론 꾸준한 국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앞으로의 성과를 좌우하겠지만요.”
웃으며 지난날을 얘기했지만, 지난해 말 각 언론에서는 너도나도 ‘음식물 대란’이라는 표현을 쓰며 진심어린 걱정보다는 제도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던데 마음고생이 적잖았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음식물직매립금지제’는 어차피 넘어야할 산이었고 초반만큼은 무사히 넘겼기에 지금의 정착 단계에 이르지 않았을까 싶다.
“대국민 홍보 등 감량정책을 추진해온 결과 생활폐기물의 증가추세에도 불구하고 음식물류 폐기물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금년 직매립금지제 시행 이후 분리수거확대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겠죠. 이렇게 국민들의 음식물류 폐기물에 대한 문제의식은 갖고 있지만 여전히 실전이 부족한 점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아직도 국민들의 실천 부족의 문제, 주민의 처리시설 설치 반대의 문제 등 초반에 꼽혔던 문제들이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지만 그 공백을 정책으로 한발 앞세워 메우겠다는게 김 과장의 설명이다. 가령 환경친화적인 음식문화 정착을 위해 ‘자발적 협약’ 체결과 ‘환경사랑음식점’의 선정·홍보 등이 그렇다. 또한 음식물류 폐기물을 줄인 지자체 및 단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한다.
물론 이번 연찬회에서도 각 지자체 담당자들이 모여 지난날의 성과 및 앞으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며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
“누누이 강조되어 왔지만 음식물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건 원천적으로 음식물을 남기지 않는 것입니다. ‘상다리 부러지게 차려 먹어야 제대로 먹는 것’이라는 구시대적인 의식에서 벗어나는 것. 즉 국민의식의 전환이 가장 시급한 과제입니다.”
우리나라가 음식을 남겨도 될 만큼 그렇게 식량이 충분하다고 해도 그렇게 낭비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식량의 대다수를 수입하는 나리인 만큼 음식에 대한 개개인의 의식수준이 먼저 자리잡혀야 한다는 말은 너무도 당연하게 들린다.


웰빙과 함께 강조되는 ‘소박한 밥상’이 건강과 함께 환경도 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때이다.  


<글·사진/강재옥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