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배출량 줄었지만 VOCs·오존은 증가, 세부 대책 시급

[환경일보]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대기오염도 홈페이지 ‘에어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양은 전체적으로는 감소했지만, 오존(O3) 농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우리나라의 5~6월 평균 오존 농도는 꾸준히 증가해 최근 20년 동안 20ppbv(전체 부피의 10억분의 1)까지 증가했다.

성층권에 있는 오존은 자외선을 차단하지만 지표에 존재하는 오존은 생명체에게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오존은 세 개의 산소원자가 결합해 형성되는데, 이 산소원자는 이산화질소(NO2)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면서 형성된다.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반응할 경우 오존을 형성하는 전구물질(화합물을 만들어 내는 모체가 되는 물질) 역할을 한다.

이렇게 대기 중 오존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이산화질소는 특히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 급격히 발생한다. 3월 초 발생한 경북 울진 산불은 평소 대비 최소 3.5배에서 최대 24배의 이산화질소를 발생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산불통계 연보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우리나라 산불 발생 건수는 평균 대비 31% 증가했다. 특히 최다, 최대 피해는 4월에 집중됐다.

오존을 만드는 또 다른 전구물질인 VOCs 배출량 역시 서울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에너지원과 관련된 황산화물(SOx), 질산화물(NOx) 감축으로 미세먼지가 대폭 감축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VOCs는 상대적으로 늘고 있어 오존과 초미세먼지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한다.

VOCs의 주요 배출원은 자동차와 파워플랜트 등의 고온 연소공정과 화학물질 제조공정 등이며, 도장·주유·인쇄·세탁·미용시설·스프레이 등 생활 주변에서도 많이 발생된다.

대류권 오존오염,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건강에 영향을 초래하는 VOCs는 1960년대부터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배출을 규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9년 환경부에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통해 원유 정제처리업, 페인트 제조, 판매업체 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키는 사업장의 시설 기준을 강화해 2020년 1월1일부터 시행 중이다.

탄소중립 선언과 코로나19 영향으로 미세먼지 배출 총량은 줄고 있지만 탄소중립이 실질적인 대기질 개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경부가 미세먼지 배출량 감소 발표에 연연하기보다 점차 농도가 짙어지고 있는 이산화질소와 VOCs,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표 내 오존량 증가에 대한 세부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서울, 울산 등 인구가 많거나 공업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VOCs와 오존 증가에 대한 대책과 병행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찾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책 마련 역시 시급하다.

더불어 각 지자체는 지역별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누락 배출원을 찾고, 미세먼지 속 건강 위해물질을 시민들에게 알려 생활 속에서 배출을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