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금광’ 스마트폰‧‧‧ 재활용률 20% 미만
폐휴대폰 수거해 수익 얻고, 금‧구리 등 재활용도 가능

대량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 스마트폰의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자원 낭비 및 폐기물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량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 스마트폰의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자원 낭비 및 폐기물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오늘날 지구에 사는 사람 수보다 스마트폰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추산된다. 스마트폰 제작과 그것의 폐기 모두 환경에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에서만도 재활용되기를 기다리는 스마트폰이 2억5000만대가 넘으며, 여기에 매달 1100만대가 추가된다. 이들 중 실제로 재활용되는 것은 20%도 안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이 재활용되지 않으면, 새 모델에 대한 요구에 맞추기 위해 금속들을 더욱더 많이 채굴해야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이 매립지로 가게 되면 수은과 납 같은 유독 성분들이 토양에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려면, 스마트폰의 수명 주기에 대해 보다 주의 깊게 생각해봐야 한다.

폐휴대폰 한 대의 금 함량은 약 0.015%, 은 함량은 약 0.3%, 구리 함량은 약 20~25%, 재생 가능한 재료 함량은 약 40~50%다. 폐휴대폰 1톤에서 약 1천만 원 상당의 구리, 주석, 은, 금 등 금속을 추출할 수 있다.

한마디로 장롱 속에 있는 작은 ‘금광’인 셈이다.

작은 금광으로 불리는 휴대폰에는 재활용 가능한 귀한 금속들이 많지만, 여전히 매립지로 향하는 폐휴대폰들이 넘쳐나고 있다.
작은 금광으로 불리는 휴대폰에는 재활용 가능한 귀한 금속들이 많지만, 여전히 매립지로 향하는 폐휴대폰들이 넘쳐나고 있다.

자신의 (폐) 스마트폰을 재활용 혹은 자원순환센터에 보내면, 금, 백금, 구리 같은 금속들을 낭비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환경오염으로 낭비되는 우리의 세금을 줄일 수 있으며,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그렇기에 스마트폰을 그냥 버리는 것보다 훨씬 권장할 만한 방법이다.

현재 스마트폰 재활용을 위한 자선 단체와 정부 제도들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또 최근에는 일부 브랜드들이 오래된 휴대전화를 회수하는 이벤트를 열어, 포인트를 주고 모니터가 잘 되는 시설에서 재활용되도록 힘쓰고 있으니 수거도 훨씬 수월해졌다.

아울러 오래된 기기를 신뢰 있는 업체에 파는 방법도 있다. 업체는 이를 수리해 재판매하거나, 부품 등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모로 장롱 속에 방치하는 것보다 파는 게, 시민들 입장에서 경제적‧환경적으로 이익임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