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경계측장비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하나 둘씩 도산을 맞고 있다.
‘그게 뭐지?’하고 묻는 사람이 있을 만큼 국내 환경산업, 그중에서도 환경계측장비를 생산하는 업체들은 열악하기 그지없다.
현재 국가 차원의 지원도 없는 데다 워낙 국내 수요가 없다보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현실이다.
상황이 이런 만큼 한 가지 제안을 하고 싶다. 최소한 시·도 지차체에서 만큼은 국산 환경장비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물론 당장의 이행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기술력도 안 되는 장비를 어쩔 수 없이 사용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만큼, 한 번 객관적인 잣대로 수입산과 국내산을 견줘볼 필요는 있어 보인다.
하지만 실제 국가기관에서 수입 계측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한 공무원은 “국산 계측기기를 사용하기가 불안한 건 사실”이라며 “사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책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어쩔 수 없는 현실(수입 기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임을 호소한 바 있다.
하지만 정작 국내 환경계측기기에 대한 성능을 점검할 기관조차 부재하다는 게 국내 현실이다.
예전에 비해 점차 기술력이 발달하고 있으며 지금은 국내 환경계측장비를 사용하는 데 크게 문제되는 수준은 아니다. 공무원들의 경우 문제 발생 시 문책을 피하기 어렵다지만 일본산이나 여타 수입산이라고 해서 고장이 안 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런 상황에서 소요되는 비용과 노고가 더 큰 것만큼은 분명하다.
뭐든지 마찬가지이지만 수입 장비를 사용하면 아무래도 소모품의 비용부담이 높아지고, 이는 결국 수입업체나 중간 브로커들의 배만 불리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국내 계측장비 산업의 경우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금만 힘을 실어주면 기술력이나 경제성 둘 다 높일 수 있지만 현재는 어느 것 하나에도 힘을 못 실어주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업체 나름대로 발버둥만 치다 제 자리에서 맴돌거나 결국 경영난으로 폐업하는 게 부지기수다.
그런 만큼 해당 장비를 사용하는 국가기관에서 먼저 국산 환경계측장비 사용에 앞장서는 데 모범이 된다면 국가경쟁력도 살리고 환경도 살리고 국내 환경업체까지 살리는 등 이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더군다나 수입된 장비들은 대부분 수질자동측정망 등 고가의 장비인 만큼 한 번 심각하게 현 상황을 바라볼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그 이유 역시 앞으로의 국내 환경산업을 생각한다면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 열악한 환경산업계에 ‘신뢰’를 불어넣는 일이 급선무돼야 한다. 물론 이는 쌍방에서 이뤄지는 신뢰를 의미한다. 일례로 최근 합병된 미국의 환경장비 제조사인 ‘엔드레스+하들러’ 사는 20년이 넘게 사용해도 고장이 안 나는 장비를 만들기로 소문이 났을 정도로 고객과의 신뢰가 돈독하다.
이게 바로 국내 환경계측장비 산업계가 해 나가야 할 몫이다.
물론 차이는 있겠지만 오히려 국내 기술력은 외국에서도 인정받고 있을 만큼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은 꼭 환경의 ET산업뿐만 아니라 IT나 BT산업에도 충분히 절충해 나갈 수 있는 부분인 만큼 각계의 관심이 절실한 시점이다.
기술력은 있지만 그 기술을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 그게 바로 국내 환경산업계의 현실이니 말이다. <강재옥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