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미국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이어 파키스탄의 지진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규모의 자연재해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각종 태풍·가뭄·호우·폭설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재해가 단순히 자연재해가 아니라는 데 동감하고 있으며 점차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져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최근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도 기상이변의 많은 부분은 더 이상 자연현상으로 치부될 수 없다고 밝혀지고 있다. 무엇보다 화석에너지의 이용 증가로 대기 중의 온실 농도가스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그에 따른 자연재해가 이젠 '인재'임을 부인할 수 없게 됐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한 획기적인 대책을 수립하지 않는다면 전 세게 인류의 생존도 장담할 수 없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다시 자연재해의 실상으로 돌아가 보면, 지난 2003년 유럽에서는 2만여 명이 폭염과 폭우로 사망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폭설, 루마니아에서는 폭염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숨진 바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쓰나미 재해가 결정적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환경재해, 더 나아가 환경재앙임을 알린 기폭제가 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렇게 태풍 발생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재즈의 고장 뉴올리언스를 폐허로 만든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기후변화의 영향력을 절실히 느끼게 해준 재해가 아닐 수 없다.
이로 인해 그간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해 왔던 미국이 비준 여부를 놓고 고심을 했을 정도라니, 대단한 위력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이는 미국에서 역시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의 변화로 인식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좁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사회·경제적 규모가 팽창하는 가운데 환경 문제 역시 계속 불거져 나오고 있다.
지난해 봄 기상청에서는 근대 기상관측 100주년을 맞아 한국의 평균 기온이 지난 100년간 섭씨 1.5도 상승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는 왜가리·백로 등 여름철새가 텃새화되고 겨울의 길이가 1920년과 비교해 1990년은 한 달이 단축되고 그 대신 여름이 길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은 개별국가 차원을 넘어 범지구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는 물론이고 감축 의무가 없는 국가들도 각종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1999년부터 두 차례에 걸쳐 기후변화대응 정부 종합계획을 수립·시행했으며 올해부터는 3차 대책을 추진하는 등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잘 알려졌다시피 우리나라는 아직 온실가스 의무감축 국가가 아닌 상황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9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나 획기적인 감축 노력이 없다면 앞으로 더욱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압박은 거세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앞으로 해 나가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 물론 매우 어려운 과제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여나가야 하며 그와는 반대로 경제 성장은 올려나가야 한다.
물론 기후를 되돌리고 지구를 살리는 일은 우리나라만의 노력으로 되는 게 아닌 만큼 각국의 협력이 뒤따라야겠지만 그 전에 우리나라에서, 더 작게는 각 기관에서, 학교, 가정에서 먼저 지속가능한 생활을 해 나가는 게 보다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