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적 책임(SR)에 대한 논의가 조금씩 일고 있다.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게 경제적 수익성에서 더 나아가 환경적 건전성과 사회적 책임성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윤리경영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CSR에서 중요한 대목은 환경적 측면이다. 지금의 CSR 개념은 환경을 지키는 지속가능경영에서 의미가 확장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을 깨끗이 보전하고 지키는 것에서 시작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각 국가에서는 나름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표준을 제정해 왔으나 국간의 다른 표준으로 인해 마찰이 빚어짐에 따라 국제표준기구(ISO)에서는 ISO 26000으로 국제표준을 정해 2008년까지 제정하고자 하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방콕에서 ISO전문가그룹 회의를 갖고 SR에 대한 기초 틀을 결정했으며, 11월 리스본에서 열릴 회의에서는 SR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될 전망이다.
이 같은 CSR가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른 것은 물론이고 기업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까닭은 사회적 책임 투자(SRI)에 연유한다. 세계적인 금융시장이 CSR를 평가 기준으로 삼고 SRI펀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3000조원이 넘는 펀드가 구성돼 있으며, 매년 30%의 증가율로 자금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이 분석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11월에 모 은행을 중심으로 SRI펀드가 조직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인 상황을 비교해 봤을 때 국내 상황의 대처가 미흡하다는 것은 말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CSR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는 올 초 3월에서야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국제표준이 거의 결정된 뒤에서야 국제표준 제정에 참여한다고 하고 있다.
국내표준이 국제표준에 흡사할수록 경제적인 손실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반면 거의 정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표준이 제정된 뒤에 그에 대한 준비를 하는 것은 여러모로 손실을 가져올 것은 명약관화하다.
3000조원이 넘는 SRI펀드가 국내기업에는 전혀 투자되지 않는 점만 봐도 국내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투자에 대한 인식과 여건이 초보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 차원의 문제라기보다 정부의 늦은 대응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김영호 SR표준화포럼 회장이 “정부의 늦은 대응으로 국내기업들이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한 말은 깊이 새겨볼 만하다.
지금에서야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을 중심으로 지난 6월 SR표준화포럼을 만들고 국제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개진을 논의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미 다 결정이 난 상태에서 어떻게 국내 입장을 유리하도록 조정할 수 있겠는가.
또한 SR이라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는 하지만 환경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드러나 있기에 환경부의 노력도 절실히 요구되지만,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
기술표준원 기술표준기획부 한장섭 부장은 “지금 세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SR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우리나라의 경우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에 강조를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왜 일찍부터 준비를 하지 못했던 것일까에 대한 의문은 아직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한 발자국 앞서가도 모자를 판에 정부는 언제나 한발자국 뒤처져 가니 비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먹이를 먹는다’는 말이 있다. 일찍 대응하고 대처하는 것도 하나의 경쟁력임을 정부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