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1994년부터 매립 일변도의 쓰레기정책에서 생활폐기물을 소각처리해 쓰레기 감량화와 위생적 처리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환, 쓰레기 소각장 건설사업을 추진하였다. 자치군을 제외한 자치구 8개의 생활쓰레기 처리를 위해 애초 부지확보가 불가능한 자치구별로 광역시설을 추진한 바 있으나, 님비현상으로 입지확보가 곤란해, 서구 경서동 청라지구에 시 주도의 광역시설을 추진했다.

환경시설 설치에 대한 입지 저항은 우리나라 환경정책에서 중대한 과제의 하나이다. 청라 광역 폐기물 소각장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천시는 시민과 환경단체에 과학적이고 정확한 사업설명을 했다. 입지 타당성 조사, 환경영향평가시 주민설명회를 열어 소각장건설의 당위성과 예상피해 줄이기 방안, 완벽한 방지시설 등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과 운영과정의 공개 등을 통해 민원을 해결해 나갈 수 있었다.

또 지역주민들의 환경적,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설규모를 그 지형에 맞는 적정수준으로 설치하되 가능한 한 최상의 기술도입을 원칙으로 했다. 혐오감을 줄이기 위해 시설의 주변조경과 건축물의 미관을 고려했고, 오염방지장치 등의 시설물은 기준을 엄격히 정해 이를 준수토록 했다. 폐기물 운반차량을 인한 교통혼잡과 먼지 발생 등으로 주변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반차량을 완전 밀폐형으로 고쳤다.

폐기물처리시설 수용에 따라 지역주민들이 입는 여러 형태의 피해는 합리적이면서 적정한 수준으로 보상되어야 한다. 지역주민의 시설수용을 위해 위락시설의 설치와 폐기물처리요금 및 에너지사용에 대한 할인혜택 등 경제적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근본적으로 충분한 홍보와 관련주민의 여론수렴, 계획수행에서 주민참여의 민주적 절차의 확보를 통해 인천시는 최대규모의 소각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청라 소각장의 총 부지면적은 4만 7,213평. 이 부지의 70% 이상은 주민편익시설로 계획되었다. 환경생태공원, 소각 폐열을 이용한 열대 식물원, 축구장·농구장·테니스장 등 종합체육시설을 설치하여 지역의 명소로 부각하고 있으며, 유치원생 등의 방문이 줄을 잇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