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헌법에 위반된다며 수도권이전 반대 국민연합이 낸 헌법소원이 기각됨에 따라 행정도시 건설은 빠르게 추진됐다. 지난달에는 충청도 연기군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개청하는 한편 대전과 서울에서는 1월 25일부터 3월까지 행정도시 기본계획 공개 세미나가 15회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연기·공주 지역에 6769만 평 규모로 건설되는 행정도시에는 2014년까지 정부기관 12부4처2청이 이전하고 2030년이 되면 도시가 완성된다. 그동안 ‘된다’ ‘안 된다’를 지속하던 행정도시 건설이 본격화됨에 따라 이제는 개발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의 도시개발이 무수한 환경파괴를 동반했다는 사실을 돌이켜볼 때 환경을 걱정하는 이들이라면 행정도시 건설이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그러나 과밀화된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토 균형발전의 목적으로 추진되는 행정도시는 그 목적에서도 획기적인 변화였지만, 환경적인 부분도 가히 혁신적이라 할 만하다. 행정도시 추진위원과 환경 분야 자문위원을 맡은 아주대 이상은 교수는 “환경 분야에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연구 성과물을 반영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할 정도다.
또 행정도시 건설청 박연수 환경방재 팀장은 “환경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기본계획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도시건설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관계자들의 말뿐만 아니라 행정도시 건설 기본방향 4대 목표는 ‘친환경도시’ 건설을 표방하고 있다. 중·저밀도 미래지향적 주거환경, 충분한 녹지 확보와 생태도시 구현을 세부목표로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도시들이 기본설계 이후에 환경을 고려했던 반면 행정도시에서는 환경이 기본 설계단계부터 중요한 목표로 설정돼 있으며, 특히 4대 기본방향의 하나로 ‘환경’이 들어간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도시 중심을 녹지공간으로 비워둔 이중환상형 구조, 생태축 보전, 물, 에너지 등의 순환형 도시기반 설치 등 자연경관을 최대한으로 살린 녹색도시 건설이다. 또 걸어서 10~20분이면 녹지에 다다를 수 있도록 개발해 자연과 공간을 공유하며 살 수 있는 거주공간이 마련된다.
특히 앞으로 기업도시·혁신도시 등 대형 국책사업이 줄줄이 개발되는 시점에서 환경친화적인 행정도시 건설은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관계자들은 앞으로 개발되는 도시에서 벤치마킹 할 수 있을 정도의 계획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다짐하고 있어 ‘녹색도시’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모든 일들이 그렇듯이 계획과 실천은 다르다. 멋지고 완벽한 계획이라고 할지라도 실행이 되지 못한다면 있으나 마나 한 계획이다. 새해 첫날부터 완벽하게 새워진 계획을 하나도 지키지 못한다면 계획을 세운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앞으로 6~7월이면 행정도시 기본계획안이 마련된다. 지금까지 논의됐던 ‘환경’을 얼마나 담아낼 수 있을지, 또 실행할 수 있고 실현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행정도시가 친환경 ‘녹색도시’ 건설의 첫 사례인 만큼 여타 도시개발들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첫 단추를 잘 채워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처럼 ‘말’로만 끝나는 계획이 아니길 바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