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 정부는 정체 상태에 있는 수출입 물동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북아 물류허브(Hub)를 실현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국제물류 네트워크를 구성, 동북아 통합 물류시장의 형성을 주도해 우리나라를 ‘고부가가치 물류허브’로 본격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은 2일 오전 출입기자와의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달 경제정책조정회의에 보고된 ‘막힘없는 국제 물류네트워크 형성 주도를 통한 고부가가치 물류 허브화 전략’을 소개하고, 범정부적인 국제물류협력추진위원회 구성 등 본격적인 국제협력시스템을 체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국제적인 물류협력에 관한 사항을 통합관리하기 위해 “장관급을 위원장으로 하고 관계부처 국장급으로 구성된 가칭 ‘국제물류협력추진위원회’를 올 상반기 중에 설치해 범정부적인 국제물류 협력 총괄 추진기구를 구성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이와 함께 국가간의 물류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할 제도적 장치로서 “국제물류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제도적 근거를 보완하고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와 우리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전담기관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같은 물류 네트워크 구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한·중·일 3국의 민관 공동연구 실시와 5월 중 우리나라에서 한·중·일 국제물류포럼을 개최하고, 지난해 합의된 한·중·일 물류장관회의를 9월 중에 서울에서 개최해 이를 매년 정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동북아 물류협력을 공식화하는 물류공동체 형성을 주도해 우리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그 구체적인 형태로 2009년 발효를 목표로 동북아 통합물류시장 형성 및 이행에 관한 동북아 물류협약 체결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해양부는 이와 함께 물류협력을 동북아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하는 등 단계적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미국(2007년) ▷러시아(2008년) ▷캐나다 및 아세안(2009년) ▷인도·브라질(2011년) 등과 물류협력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올 11월 부산에서 제3차 UN ESCAP 인프라 장관회의 때 해당 국가들과 장관급 회의를 추진키로 했다.

해양부는 또 물류협력의 안정적 지원을 위해 2011년 설립을 목표로 국제협력기금을 확보해 공동연구 지원과 실질적인 물류협력 사업에 활용키로 했다.

이와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FedEx·DHL 등 역외물류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물류기업이 역내에서 탄생할 수 있도록 3국이 공동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해양부는 이와 같은 물류협력 비즈니스 모델이 실현될 경우 오는 2010년에는 2조9000억원의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와 최소 5620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 장관은 “동북아 물류협력은 한·중·일 3국 기업의 물류비 절감과 국내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동북아 FTA를 앞당기고 경제공동체 출범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