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부동산 대책에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톡톡’…평택 외국인 임대주택 ‘시그니처 15’ 인기
[환경일보=김도희 기자] 강도 높은 6.17 부동산 대책이 발표됨에 따라 주택임대사업자들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고 있다. 주택임대사업자들에 대한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예고되면서, 대출길이 막히거나 좁아진 투자자들의 부동산 임대사업 계획에 적신호가 들어온 상황이다.
이에 부동산 시장에서 새로운 효자 투자처로 비규제지역에 들어선 외국인 임대주택이 급부상 중이다. 특히, 비규제지역에 집중된 투자수요를 바탕으로 지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1년치 월세를 선납 받을 수 있어 임대수익 실현이 안정적인 부동산이 주목을 받고 있다. 평택에 자리한 험프리스 미군기지 인근 미군, 군무원용 외국인 임대주택이다.
주한미군 평택 캠프 험프리스(K6)는 동북아시아 미군기지 중 최대 규모로, 용지 면적만 1,488만㎡에 이른다. 평택에 속하지만, 위치 특성 등 여러 가지 여건상 대부분의 기지가 아산에 위치해 6.17 부동산 규제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캠프 험프리스는 규모가 여의도 5.5배로, 부대 게이트만 총 6개다. 기지 내에는 내에는 병원 5개동, 주택 82개동, 복지시설 89개동, 본부•행정시설 89개동, 교육시설 5개동, 정비시설 33개동 등 총 513개동이 갖춰지게 된다.
미군 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게 됨에 따라 지역 내 유입되는 주한미군 수도 상당하다. 한미연합사령부를 시작으로 유엔 주한미군사령부, 미8군사령부, 동두천•의정부 미2사단 병력 등이 평택에 옮겨오면서, 4만 5,000여명이 유입된다. 전국 50여개 미군기지 가운데 90%가 넘는 수치다.
군속과 가족 수를 더한다면 8만 5,000여명의 인구 유입이 예상되며, 이전을 모두 완료하면 8,000여 가구의 렌탈하우스가 필요해진다. 하도급 등 관련 업계 종사자 수까지 합한다면, 평택 유입 인구는 20만여명에 이를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추산이다.
주한미군 등의 영외 거주 적합도 기준은 기지에서 30분 이내에 자리한 민간주택이다. 또한, 임대계약 및 디자인, 건설, 운영 등의 항목이 미군에서 요구하는 주거기준에 부합돼야 한다.
이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외국인 임대주택이 있다. ㈜공유공감이 분양 중인 ‘시그니처15’로, 미군기지에서 5분 거리에서 분양에 나서 순항 중이다.
선시공 후분양 렌탈하우스로, 대지 150평에 건물 70평 규모로 건립됐다. 현재 임대가 모두 완료된 상태로, 38,000달러 이상의 높은 금액에 임대 계약이 체결돼 있다. 공사 기간에 따른 위험 부담이 없고, 임대료를 분양 즉시 거둘 수 있어 호평 된다.
시행과 시공, 임대, 건물관리 전반을 담당하는 ㈜공유공감은 외국인 렌탈하우스 330세대 이상을 관리해 관련 경험이 풍부하다. 외국인 대상 렌탈 사업과 관련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믿고 맡길 수 있는 이유다. 마지막 3세대는 취득세 지원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