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 치료, 한의학적 접근은 어떻게
[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턱관절장애는 10~30대 사이의 젊은 층이 많이 증가 하는 편이다. 선천적인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발생하지만 직장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등 정신적인 문제 뿐 아니라 평소 잘못된 생활 습관 및 자세로 인한 문제로도 발생한다.
턱관절은 말을 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 입을 열고 닫는 행위 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턱관절에 문제가 생겨 장애 증상이 발생 되면 입을 열고 닫는 기능이 잘 안되게 되어, 말을 어눌하게 하거나 입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평소 턱관절에 문제가 있을 때 빠르게 관련 병원을 방문해서 검사와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턱관절장애의 주된 증상은 입을 열고 닫을 때 턱관절에서 ‘딱’ 소리가 나는 턱소리 증상, 통증이 느껴지는 턱통증 증상 등이다. 이 두 증상은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때 치료를 받으면 1-2개월 정도에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턱 통증이 심해지거나 심지어 두통이나 어지럼증, 이명, 심지어 안면비대칭 등으로 증상이 심해져야 치료에 임하는 경우가 많다.
덕앤추한의원 김재형원장은 “턱관절장애 증상 초기에 치료를 못하고 심해져 병원을 찾게 되면 증상에 따라 3-6개월 정도로 치료 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턱관절장애는 신체 전반에 이상 증세가 더 나타나기 전에 무엇보다 조기 발견 시 즉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턱관절장애의 한의학적인 접근은 턱관절 문제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검사를 통해 턱관절의 소리 및 상태를 보고 저작 근육의 균형을 잡는데 주력한다. 턱교침요법 등을 통해 턱관절에 영향을 주는 경추, 척추, 골반 등 전신 구조를 바로 잡아 턱관절장애의 원인개선에 중점을 둬, 수술이나 교정기 활용 없이 치료하는데 집중한다. 단, 개인 턱관절 증상정도나 건강상태에 맞는 처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보다 좋은 결과를 얻는데 이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턱관절장애는 치료가 빠를수록 치료기간은 짧아지고 효과는 높아진다.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며 “턱관절장애 초기 증상에는 평소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피로를 줄여 줄 수 있도록 스트레칭이나 따뜻한 물에 반신욕 등이 좋다. 또한 따뜻한 수건 등으로 턱관절에 찜질을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