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미래 먹거리 우주산업 육성 해법 찾다
산·학·연·관 풍부한 인프라 기반 지역-국가 경쟁력 제고··· 우주정책 전략 수립
[대전=환경일보] 김현창 기자 = 대전광역시는 24일 지역 맞춤형 우주산업 육성 해법을 찾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추진해 온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용역의 최종보고회를 지역 산·학·연·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대전테크노파크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종보고회는 이석봉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과 지역 우주 전문가 협의체인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 회원 등 산·학·연·관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행사(트리마란) 발표, 질의응답, 전문가 제언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먼저 용역 수행사의 뉴스페이스 전환기 국내외 우주산업 현황, 기업 수요조사를 포함한 대전의 우주산업 여건, 우주산업 클러스터 사업과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 기본계획(안)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맞춤형 추진 전략으로 ▷민간 주도 미래 우주기술 확보 ▷산·학·연 연계 우주 전문인력 양성 ▷우주기업 역량 강화 지원 ▷우주산업 클러스터 첨단 우주센터 등 우주산업 인프라 확충 ▷우주산업 성장 기반 조성 등이 제시됐다.
용역 결과에 대해 지역 우주 전문가들은 지역의 강점인 연구·인재 개발에 초점을 맞춘 산업 육성 전략을 잘 담아냈다고 평가하고, 대전이 자부심을 갖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발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용역 조사 결과, 대전은 항우연 등 14개의 연구기관, 카이스트 등 3개의 대학, 쎄트렉아이 등 69개의 기업 등 총 86개의 우주 관련 기관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이번 용역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과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우주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며, 지속적으로 전문가와 소통해 내실있는 우주산업 육성 방향이 정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석봉 시 경제과학부시장은 “대전은 미래 먹거리인 우주산업의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 역할을 해야 하는 도시”라며 “이번 용역을 통해 도출된 내용들을 활용해 산·학·연·관 풍부한 인프라를 갖춘 대전이 국가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선도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지역의 장점을 살린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우주정책 전략수립 계획을 수립해 기반을 다졌고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를 4월 출범해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또한 이장우 시장의 전방위적 노력을 통해 과기정통부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에 포함됐고, 우주시험장비 구축을 위한 산업부 지역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48억원을 확보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