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 쏘는 친환경 꿀팁⑫] 아이들 위한 ‘건강한 에코 라이프’ 소개서

아이에게 안전한 유아용품‧이유식은?‧‧‧ 친환경적 반려동물 기르기 편

2023-03-31     김인성 기자
아기가 태어나면 많은 부분들을 신경써야 한다. 장난감, 옷 등 용품부터 이유식까지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방법들은 다양하다.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아기가 태어나면 갑자기 사야 할 물건들이 끝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많은 것들이 환경에 해가 될 수 있다.

그런 물건의 상당수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거나 포장돼 있다. 구매와 처리의 문제를 떠나서, 플라스틱에는 보통 BPA(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가 들어 있다.

 

  가장 친환경적인 유아용품을 선택하는 방법은?  

아기들 중 85% 가량이 고무젖꼭지를 쓰는데, 그 중 다수가 플라스틱이다. 장난감을 만드는 물질은 플라스틱이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지만, 유해한 물질로 여겨진다.

우리의 아이를 위한 최고의 장난감 및 용품을 찾는 일은 친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플라스틱을 버리고, 전통적인 재료들과 신기술의 조합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

유아용품에도 다른 많은 일상용품과 같은 문제들이 똑같이 적용된다. 다행히 요즘에는 보다 친환경적인 대안들을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우리의 아이를 위한 최고의 장난감 및 용품을 찾는 일은 친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플라스틱을 버리고, 전통적인 재료들과 신기술의 조합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

1. 천연 고무 젖꼭지, 실리콘 젖꼭지가 달린 강철 또는 유리병에서부터 나무나 실리콘으로 만든 깨지지 않는 그릇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유아용품에서 플라스틱을 쓰지 않은 제품들을 찾는다.

2. 담요, 옷이나 기타 천으로 된 제품들은 합성 섬유보다는 유기농 면에나 천연 섬유를 선택한다.

3. 아기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할 때는 유기농, 또는 합성 재료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아니면 주방 찬장을 한 번 살펴본다. 온라인에는 인공화학 물질이 전혀 없는 ‘깨끗한’ 스킨케어 제품들을 DIY할 수 있는 레시피들은 많다.

4. 일회용 물티슈 대신 재사용 가능한 대나무 수건, 또는 아기에게 안전한 팅크나 오일을 적신 천을 사용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한다.
그래도 일회용 물티슈를 쓰게 된다면 생분해되는 플라스틱 프리 제품을 선택한다.

(대부분의 물티슈들은 버려질 경우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된다)

5. 재활용 재료들로 만들어진 유모차, 플라스틱 병들로 만든 기저귀 가방 등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의 재활용 버전을 찾는다.

6. 아기 침대에는 유기농 매트리스를 선택하고, 스펀지나 화려한 색의 플라스틱 대신 코르크로 만들어진 놀이 매트를 고르는 편이 좋다.

 

천 기저귀와 일회용 중 어느 것을 선택할까?

영국에서는 매년 30억개의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되는데, 이 기저귀들의 대부분은 매립지로 운반되며 분해되기까지 수백년이 걸린다. 일부는 연료 자원으로 소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온실 가스 배출을 더하게 된다.

일회용 기저귀는 매립지에 쌓이지만, 대신 천 기저귀에는 에너지와 물이 든다.

한 연구기관의 보고에 따르면 그 기저귀들을 빠는 데 사용되는 전기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2년 6개월 기준 570킬로그램인데, 같은 기간 동안 쓸 수 있는 양의 일회용 기저귀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550킬로그램밖에 안 된다.

그러나 책임감 있게 빨고 말린다면, 전반적으로는 천 기저귀가 영향을 덜 미칠 수 있다.

1. 천 기저귀는 30도에서 빨고, 건조기를 사용하기보다는 널어서 말린다.

2. 천 기저귀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구매 전 다양한 제품들을 써볼 수 있는 기저귀 ‘도서관’을 살펴보면 도움이 된다.

3. 두 가지의 병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밤이나 외출 시에만 일회용 기저귀를 쓰는 식으로.

4. 미세 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물티슈 사용은 되도록 피한다.

일회용 기저귀는 매립지에 쌓이지만, 대신 천 기저귀에는 에너지와 물이 든다. 그러나 책임감 있게 빨고 말린다면, 전반적으로는 천 기저귀가 영향을 덜 미칠 수 있다.

 

  플라스틱 장난감은 피해야 할까?  

모든 어린이용 장난감의 90%는 플라스틱이다. 일회용 플라스틱이 수많은 부정적 언론 보도의 주제가 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우리 아이들의 플라스틱 장난감은 기후에 더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공격적인 광고로 부모에게 압력을 가해, 아이들에게 없으면 안 될 것만 같은 최신 제품을 사주도록 하는 장난감 업계는, 매년 전 세계저긍로 740억 파운드(2023년 3월 기준 약 119조원)의 매출을 올린다.

일반적인 어린아이가 소유하는 장난감 수는 최근 크게 증가했으며, 대부분은 금세 쓸모없게 돼 버려진다. 장난감들은 아이들뿐 아니라 지구에도 수많은 부정적인 면을 갖고 있다.

많은 플라스틱 장난감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화학 첨가물이 들어 있다. 일부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 A(BPA)는 호르몬 교란 물질들이다.

전 세계 장난감의 약 80%는 중국에서 생산된다. 보통은 공장 환경이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제품들을 세계 곳곳에서 보내면 항공마일이 쌓이게 된다. 또 많은 장난감이 과도한 플라스틱 포장재에 들어 있는데, 그 포장재는 결국 매립지로 가게 된다.

많은 플라스틱 장난감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화학 첨가물이 들어 있다. 일부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 A(BPA)는 호르몬 교란 물질들로, EU에서는 아이들이 씹거나 빨 수 있는 물건들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어떤 플라스틱 장난감들에는 극미량의 중금속이 함유돼 있기도 하다.

아이들이 그들 자신과 지구 모두에게 무해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나무, 또는 재활용됐거나 환경적 영향이 덜한 재료들(판지 등)로 만든 장난감들을 선택한다.

2. 중고 플라스틱 장난감들을 조심한다. 현재의 안전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일 수 있다.

3. 처음부터 장난감을 많이 사지 않는다.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 장난감이 많지 않은 아이들은 그 장난감이 넘쳐나는 아이들에 비해 창의력을 더 많이 발휘한다.

4. 장난감 대여 업체를 찾는다.
6개월 정도 빌렸다가, 아이가 크면서 달라지는 요구 사항에 따라 새 장난감으로 바꿔줄 수 있다.

5. 오래된 장난감은 버리지 말고 물려주거나 다른 사람에게 선물 또는 기부한다.

 

  이유식을 직접 만드는 게 친환경적일까?  

안 그래도 힘든 이유기는, 우리가 아이를 최대한 지속가능하게 먹이겠다고 결심한 경우에는 더욱 오르기 힘든 산처럼 보일 수 있다.

다른 가공식품들과 마찬가지로 이유식 역시 공급망이 길 수 있으며, 이는 곧 생산 및 운송 시 탄소배출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장도 문제다.

일회용 파우치는 편리하긴 하지만 재활용이 거의 안 돼서 세계의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를 가중시킨다.

음식을 직접 갈고, 잘게 자른 과일이나 파스타 같은 것을 핑거 푸드로 줌으로써 우리만의 부분적인 생산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아기가 먹는 음식에 정확히 어떤 재료들이 들어갔는지 알 수 있으므로 탄소 또는 물 발자국이 큰 음식들을 피할 수 있다.

직접 만든 이유식은 아기가 먹는 음식에 정확히 어떤 재료들이 들어갔는지 알 수 있으므로 탄소 또는 물 발자국이 큰 음식들을 피할 수 있다.

시판 이유식을 사 먹인다면 쉽게 찾을 수 있는 좀 더 친환경적인 브랜드들을 선택한다. 우리의 아이가 첫 끼부터 친환경적으로 먹도록 도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이유식은 최대한 처음부터 직접 만든다. 더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한 제철 과일과 채소를 선택한다.

2. 이유식을 사 먹일 때는 유기농, 국내 생산 제품을 찾는다.

3. 파우치 형을 산다면 재활용이 되는지, 또는 재활용되도록 공급처로 반환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재사용 가능한 파우치를 구매해 직접 만든 이유식을 담을 수 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게 친환경적일까?  

반려동물 기르기가 인기다. 2020년 미국 총 가구의 67%가 반려동물을 소유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개, 고양이, 또는 기타 반려동물을 소유하면 개 주인들이 좋아하는 일일 훈련이나 동료애, 위안, 동물들이 정신 건강에 주는 활력 등 확실한 혜택들이 많다.

그렇지만 미국에서는 반려동물 기르기로 인해 매년 6400만톤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배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도로에 1360만대의 자동차가 더 다니는 것과 같다.

반려동물의 먹이와 그들을 따뜻하고, 안전하고, 행복하게 하는 데에 필요한 자원들은 전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모두가 축산업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이 시점에 많은 반려동물이 육류 함량이 높은 먹이를 먹는다.

반려동물의 먹이와 그들을 따뜻하고, 안전하고, 행복하게 하는 데에 필요한 자원들은 전부 환경에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부분들에 신경을 써야 한다.

우리의 개와 고양이가 먹는 먹이는 유축 농업(작물 재배와 가축 사육을 결합한 농업 형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중 4분의 1을 차지하는 정도다. 개와 고양이로부터 나온 쓰레기의 처리 방식(개 배변 봉투, 고양이 모래 등)도 큰 피해를 준다.

되도록 반려동물을 기르지 않는 것이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이긴 하나, 반려동물을 기르는(혹은 기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보다 친환경적으로 동물을 기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1. 고양이 모래나 톱밥은 나뭇조각이나 식물성 재료 등 지속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2. 반려동물용 샴푸와 트리트먼트는 화학 물질이 들어간 것을 최대한 피한다.

3. 반려동물용 장난감은 플라스틱 프리로 선택하고 침대, 그릇, 줄과 기타 용품들은 경매 사이트에서 상태 좋은 중고로 구하는 것을 고려한다.

4. 반려동물을 가능한 한 친환경적으로 먹이고, 자연에서 잡힌 특이 동물을 기르는 것은 지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