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제해양·안전대전]
모바일 기반 민관협력 수색구조 시스템 개발, 한국환경연구원(KEI)

해경 인력 한계 극복··· 인명 구조·유류 유출·선박 조난 시 활용

2024-06-21     박선영 기자
한국환경연구원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국제해양·안전대전에 참가해 해양경찰 구조 인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수색구조를 위한 ‘해양환경재난 대응 솔루션’을 소개했다. /사진=박선영 기자 

[송도컨벤시아=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해양사고 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골든타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한국환경연구원(이하 KEI) 연구 자료에 따르면 최근 어선, 낚시배, 해양레저 등 연안 사고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해양경찰 함정 1척당 서울시 면적의 약 10배를 경비하고 있다.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19일부터 3일간 개최된 국제해양·안전대전에 참가한 KEI는 해양경찰 구조 인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수색구조를 위한 ‘해양환경재난 대응 솔루션’을 소개했다.

AI-수색구조 지능형 해양수색구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과 민관협력 스마트 수색구조 시스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양사고 위해도 평가 및 대응지원 시스템(POSEIDON)은 해양경찰청에서 발주한 해양안전 대응 솔루션 R&D 과제 결과물이다.

해양경찰청 과제명은 ‘AI 기반 해양수색구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다. 과제 수행을 위해 KEI는 ‘스마트 수색 구조 연구단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해양재난은 인명 구조와 환경오염 대응을 포함한다.

정해상 KEI 연구원은 “KEI 해양환경재난 대응 솔루션은 인명 구조와 환경오염에 민관이 함께 나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모든 과정에는 ICT 기술이 활용된다.

스마트 수색구조 시스템은 민관협력이 핵심이다. 조난 발생 지점 반경 몇 km 내 어선이나 한국해양구조협회 등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문자를 보내고 수락 버튼을 누르면 사고 지점에서 상황을 모바일 영상 등으로 전달하거나 해양경찰의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낚시나 조업을 나가기 전에 파출소 등에 신고를 하고 나간다면 조난 시 위치 정보가 핸드폰을 통해 전달된다.

‘지능형 해양수색구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해양 사고 발생 시 수색 대상이 어디로 표류하고 있을지 추정한다. 수색 기체를 투입했을 때 가장 성공률이 높고 효과적으로 대상을 수색할 수 있다. 이 연구에는 해양 기상 모델 연구진이 포함됐다. 바람, 해류 예측 모델로 사고 위치를 판별하게 된다. 이후 사람의 특성을 가상 입자를 통해 분석하고 해경과 수색할 지점을 찾는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양사고 위해도 평가 및 대응지원 시스템(POSEIDON)은 결과값을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 수많은 빅데이터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지점, 유출된 유류가 이동한 궤적, 유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유류 유종과 유출량과 사고 당시 해양기상을 예측한다. 사고 지점 주변에 방제 자원을 투입했을 때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방제 자원 분포는 아이콘과 숫자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