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은 크기만 작아진 핵 발전소’

환경단체, 대구시-수력원자력 SMR 사업계획 철회 촉구

2024-07-11     이정은 기자

[환경일보] 11일 ‘환경운동연합 탈핵위원회’,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대구시민공동행동’,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대구환경운동연합(생명평화나눔의집) 강연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광역시-한국수력원자력의 SMR 사업화 계획 취소를 요구하는 전문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본격적인 기자회견 시작 전, 노진철 환경운동연합 이사장/대구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여는 말에서 “대구 지역은 분지 지형이며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날 경우 대구 포함 인근 지역 수 많은 사람이 재앙을 맞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SMR 추진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현재를 살고 미래를 살아갈 사람들에게 커다란 위험을 맞게 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라며 정부와 대구시의 각성을 촉구했다.

대구광역시-한국수력원자력의 SMR 사업화 계획 취소를 요구하는 전문가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전문가 설명자로 나선 에너지전환포럼 석광훈 전문위원은 SMR 사업 추진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2001년경부터 오하이오 주립대 연구팀에게 20㎿ 소형 다용도 원자로 연구개발 지원을 시작했고, 미국의 뉴스케일 사는 2003년 35㎿을 시작으로 2020년 77㎿로 아무런 실적 없이 설계의 확대 변경을 지속했으며, 이 같은 확대 변경은 경제성이 나오지 않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한 폴란드 전 정권이 주도한 SMR 건설의향서(LOI) 남발 사례를 들며 “SMR 사업은 공중에 뜬 사업이고 아직 완성하려면 10년이 걸릴지, 20년이 걸릴지 모르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캠페인성에 지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석 전문위원은 “여러 사례에서 보여줬듯, SMR을 추진했다가 이를 폐기하고 재생에너지로 돌아선 것에 대해 우리가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말로 설명을 마쳤다.

대구광역시-한국수력원자력의 SMR 사업화 계획 취소를 요구하는 전문가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이어 환경운동연합 안재훈 활동가는 “기존의 대형 원전에 비해서 SMR이 안전성 측면이나 경제성 면에서 우수하다고 입증된 바가 아무것도 없고, 규제도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가 추세이고 글로벌 기업도 RE100을 약속하고 이행하는 상황에서 SMR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공급 받고 싶어하는 기업들을 찾기란 힘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이상홍 사무국장은 “SMR은 실체가 없고, 경제성이 없고, 미래 비전도 없다”고 주장했다.

녹색당 대구시당 장정희 사무처장은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은 무엇으로도 수습할 수 없음을 강조하며 “홍준표 시장의 시정에는 과정이 전무하다”고 비판했다.

대구 군위군 도산리 오태완 노인회장은 “SMR 단지가 청정 군위에 들어서는 안 되며, 건설이 이뤄지지 않게 함께 하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