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중소·중견기업도 ESG 경영 필수

한국은 ESG 공시 2026년 이후로 연기 전 세계 ESG 제도화··· 자본 비용 절감·투자 가능성 확대 기대

2024-10-11     박선영 기자
10월10일 개막한 코엑스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ESG 정보 공시 관련 기업 상담과 기업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공시 준비 업무에 대해 홍보했다. /사진=박선영 기자 

[코엑스=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올해 2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은 탄소중립, 자원순환, 환경보전을 아우르는 친환경 기술 및 환경산업 비즈니스 장으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2025년 시행 예정이었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 공시가 2026년 이후로 연기된 상황에서 글로벌 환경무역장벽이 강화되고 있는 것을 체감한 중소·중견기업은 전시회에서 ESG 공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현재 전 지구적으로 ESG 공시, 공급망 실사 등 글로벌 ESG 제도화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주가 조작, 불법 거래, 기업 부정 공시를 감시하는 SEC에 기후공시를 포함시켰다. 기후공시에서 더 나아가 EU 탄소국경조정제(CBAM) 성격을 가지는 청정경쟁법(CCA) 도입을 추진 중이다.

EU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 등의 국가에 EU만큼의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스템을 갖출 것을 요구 중이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그만큼 비용적인 손해를 감수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용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ESG 컨설팅 전임연구원은 “ESG는 이제 고객사 요구조건으로 의무화된 경향이 있어 기업이 사회적 도리를 다하기 위한 선택 사항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조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ESG 경영은 기업이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건전한 경영구조를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이다. /자료제공=환경일보DB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은 기업이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건전한 경영구조를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이다. 과거 기업이 재무적인 것을 재무 제표로 공개했듯 ESG 공시는 환경, 사회, 거버넌스 등의 비재무 제표를 정량화해 스스로 공개하는 것이다. 비재무 제표는 지속가능경영으로도 불린다. E 지표로 수질, 대기오염물질을 얼마나 배출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S 지표는 얼마나 기업이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지 정량화하는 것이다. G 지표에서는 이사회 여성 비율, 일자리 보존, 주주를 위한 활동 등이 정량화된다.

권용민 연구원은 “현재까지는 비재무 제표 조건을 기업이 굳이 채우지 않아도 됐지만 이제는 공시 툴에 맞추고 공개까지 해야 하는 상황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공시 툴은 미국과 유럽이 거의 비슷하다. 툴 규격은 2021년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설립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기준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권 연구원은 “ISSB가 아직 초기적인 단계만을 제시했고 기준이 전부 나오지 않았지만 현재까지는 이것을 기초로 전 세계가 따라야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SEC에서 공시 가이드라인을 낸 상태다. 유럽도 자체적으로 어떻게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를 지난해 1월 발효했다. 한국과 아시아는 ISSB 기준을 따라가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KSSB라는 체계를 만들고 있다.

권 연구원은 “KSSB는 올해 말 공개 예정으로 ESG 공시 연기를 주장하는 의견이 있지만 기업들이 앞으로 유럽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준수하지 못하면 공급망에서 탈락돼 고객사와의 거래가 끊어지고 수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ESG 경영 역량을 갖춘 기업은 리스크 관리가 잘되는 기업으로 평가받아 더 낮은 금리로 자본을 제공 받아 자본 비용 절감 및 재무 구조 개선 가능하고 투자자들에게 높은 신뢰를 제공해 투자 가능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