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정감사] 4년 전 국감서도 지적된 기상청 관측 조밀도 여전··· 청장 "노력 부족" 인정
782억원이 든 국내 기상예보모델, 여전히 해외보다 정확도 ‘낮아’
지난 7월 파주서 385.7㎜가 내렸음에도 한국형 모델 300㎜나 틀려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수백억을 투자해 자체 개발한 국내 모델을 쓰는데, 왜 이렇게 해외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냐”
매년 기상청 국정감사에서는 나오는 얘기다. 그러나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 올해 국감에서도 여야가 한목소리로 기상예보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11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기상청 국감에서는 기후위기에 대한 감시 및 예측 업무, 총괄‧지원 대책 마련 필요, 예보관 인력 및 연구관 인력 확충 및 개선 필요, 기상예보 정확도 및 만족도 개선 필요 등에 대한 내용들이 언급됐다.
기후위기로 인해 정확한 기상 예측 정보는 단지 정보성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더욱더 밀접한 관계가 됐다.
과거 기상청은 기상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세 가지의 방향성을 공개했다. 첫 번째는 관측 품질로 AWS(방재기상관측)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두 번째는 수치예보모델에 관측된 데이터를 입력해 기상상태를 예측하겠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는 기상예보정확도를 결정하는 예보관이 수치예보 결과를 분석‧해석해 최종 예보를 작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김소희 의원은 “기상예보의 국민들의 만족도가 여전히 낮다”며 기상청이 제시한 부분들이 모두 개선되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오차 심각해도 5년간 기상관측장비 ‘16대’만 증가시켜
김 의원은 “5년간 기상관측장비를 고작 16대만을 증가시켰으며, 수도권 편중도 심각하다”고 설명하며 “촘촘하고 세밀한 관측 정보가 시급한데, 기상 관측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기상청 자동 기상관측장비인 AWS의 지역별 편차가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전국 자동 기상관측장비 AWS 설치 현황을 보면 ▷서울 27대 ▷인천 22대 ▷대전 4대 ▷대구 9대 ▷광주 6대 ▷부산 12대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관측 장비 간 거리인 조밀도도 그 효과가 높은 12km 이내를 대부분 지키지 못하고 있다.
서울, 광주‧전라를 제외한 강원, 충북, 대전‧충남, 전북, 대구‧경북, 부산‧경남 모두 12km를 넘기고 있다. 이처럼 관측 공백을 메우기 위한 추가 설치가 필수인데도 불구하고, 지난 5년간 16대 늘리는 데에 그친 셈이다.
김 의원은 “4년 전에도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됐지만 왜 아직 개선이 안 됐냐”는 질문에 장동언 기상청장은 “노력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고 이질직고했다.
천문학적 비용 들여도 성능 뒤떨어진 한국형 모델?
한국형 기상예보모델에 대해서도 뼈아픈 지적이 이어졌다. 우리나라는 원래 영국형 모델을 사용하다 이제는 한국형 수치예보모델로 교체했다. 그러나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정확성 측정 결과, 해마다 개발 및 유지비를 쏟아붓고 있음에도 영국형과 유럽형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상예보를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이고 있다. 한국형 수치예보모델개발 KIM 연구‧개발에 2011년부터 총 ‘782억원’이 들었다. 또 기상청 슈퍼 컴퓨터 전기 사용료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만 하더라도 총2735억4000만원이 소요됐다.
2018년에서 2024년까지 UM, GFS, ECMWF 모델의 각각 데이터 사용 예산은 연간 약 2억2000만원이다. 추가적으로 기상재해 사전대비 중심의 시공간 통합형수치예보기술 개발(R&D) 연도별 예산도 561억원에 달한다.
박정 의원 또한 “782억원이 소요됐는데 실제 강수량과 오차가 너무 크다”며 “지난 7월17일 파주에서 385.7㎜가 내렸음에도 한국형 모델은 오전 9시에 50㎜ 오후 9시에 60㎜를 예측해 300㎜나 틀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의원은 “몇 년째 같은 말만 반복하기 보다는 실제로 예보 정확도를 개선해 국민들의 불만을 해소시켜야 한다”며 “관측 장비를 활용하고 예보관이 부족한 부분 보충과 대국민 홍보 등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관계 부처 및 입법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