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시민체감 생활밀착형 사업 확대 추진

2023년 첫해 71건에서 올해 121건 매년 사업 확대, 시민 삶의 질 향상

2025-02-17     김성택 기자
용인특례시, 시민체감 생활밀착형 사업 확대 추진 /사진제공=용인특례시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용인특례시가 시민의 생활 향상을 위해 올해 121개의 생활밀착형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17일,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시민체감 생활밀착형 사업 보고회'를 주재하며, 시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취임 3년차를 맞이하여 시민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한 행정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용인시는 지난해 71건의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121건으로 사업을 확대하며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 시장은 소통간담회와 현장방문을 통해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시민체감 생활밀착형 행정'을 실현할 계획이다.

올해 추진되는 121개 사업은 △시민편의(14건) △교육·문화·체육(13건) △제도개선(8건) △복지(11건) △보건(7건) △기업·경제(12건) △환경(9건) △안전(9건) △도시·여가(12건) △반도체(9건) △교통(17건) 등 총 11개 분야에 걸쳐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부실시공을 차단하기 위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었으며, 이는 최근 발생한 하자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사전점검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음식물류 수거 체계를 전환하기 위해 약 11만 세대에 '음식물류 폐기물 개별계량기기(RFID)'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올해에도 시민의 실생활에 보탬이 되고, 불편을 해소하는 사업들을 많이 발굴해 착실하게 진행하자"고 당부했다.

교통 분야에서는 17개의 사업이 진행되며, 학교 주변의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과 교통체계 개선이 포함된다. 이 시장은 학생안전과 관련된 방안을 간담회에서 수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오는 2월부터 12월까지 '용인 다움학교' 일원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 보도를 설치하고, '모현초등학교 통학로 정비사업'을 통해 학교 후문 앞 교량을 확장할 예정이다.

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기흥구 보라동의 민속촌 입구 삼거리와 동백동 석성로 진입로에 1개 차로를 추가로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운수종사자 부족으로 인한 대중교통 운행감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수종사자 양성기관을 지정하고, 처우개선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시민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과 시설 확충도 중점 추진된다.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 '건축허가시 전기차 화재예방시설 의무화'와 '화재안전취약가구 주택용 소방시설 지원' 사업이 진행된다.

편리한 교통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국공유지를 활용해 차로를 확대하고, 사고가 잦은 지역에는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예정이다.

용인은 2023년부터 '중증장애인가구 잔고장 수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3년째를 맞이하여 홀몸 어르신을 위한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방충망, 수도꼭지 수리 등을 지원하며, 큰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고령 어르신 동행 서비스'를 통해 70세 이상 어르신 500가구를 대상으로 동행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용인은 다양한 문화공간과 여가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주민과 함께하는 열린 커뮤니티 광장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처인구 김량장동에 다목적 광장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쉴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마북천 산책로를 탄천까지 연결하기 위한 사업도 진행되며, 유휴지 공공 숲 조성 사업을 통해 시민의 쉼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상일 시장은 "어려움에 좌절하는 시민이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세심한 복지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시는 올해도 시민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시민체감 생활밀착형 행정'을 실현할 예정이다. "시민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이 시장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