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제35차 에너지위원회 개최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 등 3개 안건 심의

2025-03-18     박준영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월14일(금)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주재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지난 14일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하고,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했다.

정부는 석유, 가스, 전기 등 에너지 수급 차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을 수립해 왔다. 이번 개편에서는 전기화 확대 및 열 사용 증가 등 에너지믹스 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 이상기후로 인한 에너지 수급 위기 등의 변화를 반영해 대응 매뉴얼을 정비했다.

특히, 기존 전력·원유·가스·석탄 중심에서 전력·원유·가스·열로 관리 대상을 개편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변동성을 고려해 수급·계통 관리로 체계를 세분화했다. 또한, 복합적인 에너지 위기 상황을 대비해 ‘에너지 종합 비상수급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

가스는 취사·난방용뿐만 아니라 산업·발전용으로도 활용되며, 가연성과 폭발성으로 인해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정부는 2015년부터 5년마다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해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제3차 계획에서는 수소경제 성장에 대비해 수소 신기술에 대한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도록 했다. 또한, 노후 가스시설 증가에 대응해 IT 다중이용시설·산업단지 등 전기안전 취약분야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 현장 중심의 유연한 전기안전관리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기술 혁신 민간 주도의 전기안전산업 육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실시간 원격 전기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사고 예방을 강화할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이번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 개편은 13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에너지 수급 비상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수소경제 성장과 첨단산업의 전기 수요 증가 등 여건 변화에 맞춰 전기·가스 안전관리 체계를 지속 혁신해 국민이 안심하고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