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다이옥신 농도 대기·토양 모두 안전 수준 유지

2024년 6개 시 조사, 대기 중 농도 기준치의 3.6%·토양은 0.4% 수준

2025-03-28     김성택 기자
경기도, 다이옥신 농도 대기·토양 모두 안전 수준 유지 /사진제공=경기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 대기와 토양의 다이옥신 농도가 국내 환경기준치를 훨씬 밑도는 수준으로 확인됐다. 경기도의 지속적인 환경정책과 철저한 관리가 독성 물질 저감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8일 지난해 평택, 김포, 포천, 이천, 안산, 동두천 등 도내 6개 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다이옥신 농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는 평균 0.022pg I-TEQ/㎥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다이옥신 대기환경기준(연평균 0.6pg I-TEQ/㎥)의 3.6%에 불과한 수치다.

이는 경기도가 2020년 이후 매년 꾸준히 관리해온 결과로, 연도별 평균 농도는 ▲2020년 0.041 ▲2021년 0.035 ▲2022년 0.024 ▲2023년 0.031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연구원은 이 같은 성과에 대해 불법 노천소각 단속, 배출원 관리 강화 등 도의 환경정책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토양에 대한 분석도 함께 진행됐다. 도내 산업단지와 공장 지역,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관련 지역 등 13개 지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토양 내 다이옥신 농도는 평균 0.651pg I-TEQ/g으로 확인됐다. 이는 환경부가 정한 토양오염 정화기준(160pg I-TEQ/g)의 0.4% 수준으로, 오염 우려가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다이옥신은 쓰레기 소각 과정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맹독성 환경호르몬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체내에 축적되면 암이나 기형아 출산 등 치명적인 건강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고도의 감시와 관리가 필수적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001년부터 ‘잔류성 오염물질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누리집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찬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잔류성 유해물질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도내 유해 대기 배출원과 영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도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과학적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