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특별점검… 지반함몰 사전 차단

지반 붕락·지하수 유출 등 37건 지적… “시민 안전, 선제 대응 강화”

2025-04-04     김성택 기자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3 공구 터널 점검 /사진제공=경기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 지반함몰 사고와 유사한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에 대한 특별점검을 지난 2일 실시했다.

이번 특별점검은 도심지와 인접한 철도구간이라는 특성상 도민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선제적 조치로 추진됐다. 점검은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을 비롯해 도민감리단, 경기지하안전지킴이 등 민간 전문가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종합적인 방식으로 이뤄졌다.

점검 대상은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3개 공구였으며, 주요 점검 항목은 ▲지반 안정성 확보 여부 ▲굴착부 안전 관리 ▲지하수 유출 및 유동 여부 ▲도로 및 인접 건축물 침하·균열 현상 ▲천단 침하 등 계측자료 분석 등이다.

특히 지반 붕락, 지하수 유입, 구조물 변위 등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포착하고, 기술적 보완책 마련 필요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됐다. 각 공구별 위험구간 관리체계 및 비상 대응 시스템도 중점 검토 대상이었다.

점검현황 및 계측자료 검토 /사진제공=경기도

이번 점검 결과 총 37건의 지적사항이 도출됐다. 주요 지적으로는 ▲계측기 주기적 점검 및 데이터 분석 강화 ▲순찰 강화 및 이상 징후 대응훈련 강화 ▲GPR(지하레이더탐사) 추가 시행을 통한 지반 정밀 조사 ▲굴착 시 유출수 관리 철저 등이 포함됐다.

도는 점검 결과에 따라 각 공구별 자문 결과를 검토한 뒤, 필요 시 안전진단, GPR 추가 탐사, 보완 시공 등 후속 조치를 이달 중 신속히 시행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사업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도 보완할 방침이다.

김기범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예방 중심의 지하안전 관리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철도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