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 면적 높을수록 지표면 온도 낮다
국립산림과학원, 도시 열섬 완화 위한 작은 숲 확대 시급
[환경일보] 도시숲 면적 비율이 높을수록 도심의 지표면 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위성사진을 기반으로 서울시 자치구별 지표 온도와 도시숲 지도를 분석한 결과, 자치구별 도시숲 면적 비율에 큰 편차가 있고, 이 비율이 지표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11일 밝혔다.
분석은 작년 8월 29일 촬영된 랜샛(Landsat) 위성 영상의 온도 밴드 자료와 국제학술지 ‘Ecological Indicators’에 발표된 서울시 도시숲 지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뤄졌다. 분석 결과,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평균 도시숲 면적 비율은 30.6%였으며, 자치구별로는 강북구(62.3%), 종로구(61.1%), 관악구(57.4%), 은평구(52.2%), 도봉구(51.3%) 순으로 높은 반면, 영등포구(5.8%), 강서구(10.2%), 성동구(10.8%) 등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숲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표면 온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했다. 강북구와 서초구 등 도시숲 비율이 높은 구의 지표면 평균 온도는 34.9℃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숲 면적이 적은 구보다 3℃ 이상 낮았다. 반면, 도시숲 비율이 낮은 중구, 구로구 등은 38℃ 이상을 기록하며 열섬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별 도시숲 확대가 필요하다”며 “특히 유휴지를 활용해 교통섬, 가로수 등 작은 숲을 다수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자치구별 도시숲 비율을 살펴보면, 중구(22.4%), 성동구(10.8%), 영등포구(5.8%) 등 도심 및 개발 밀집 지역의 도시숲 비율이 낮아 집중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도시숲 지도는 위성영상을 AI 기법으로 분석해 도시 내 나무와 숲이 차지하는 공간 분포 정보를 시각화한 자료로, 도시 기후 완화와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시 열섬 대응과 기후적응형 도시계획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박찬열 센터장은 “도시숲은 시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도시 생태 인프라”라며 “정책적 투자가 강화될수록 더 건강하고 시원한 도시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