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절반, 장마철 피해 대처법 몰라

소득 수준 따라 최대 25.5%p 격차 "실질적 평생학습 방안 마련"

2025-07-18     김성택 기자
경기도민 장마철 피해 예방 인지도 조사 /자료제공=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민 절반가량이 장마철 재해에 대한 대처법을 모르고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25.5%포인트의 인지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들은 기본적인 재난 대응법을 중심으로 한 평생교육을 원하며,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교육에 높은 선호를 보였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장마철 피해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50.2%만이 예방과 대처 방법을 ‘안다’고 답했다. 특히 소득 하위 20% 응답자의 인지율은 40.3%로, 상위 20%(65.8%)에 비해 25.5%포인트 낮아 정보 접근성의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경기도가 시행 중인 하천변 통제, 우선대피대상자 사전 연락, 빗물받이 점검 등 장마철 대응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73.8%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소득 하위층의 체감도는 65.7%에 그쳐 평균보다 8.1%포인트 낮았다.

장마철 피해 예방 교육에 참여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2.8%였으며, 희망하는 교육 내용으로는 ‘기본 재난 대처법’(58.4%)이 가장 많았고, ‘주택·건물 안전 관리법’(29.2%), ‘취약계층 보호 방법’(6.6%)이 뒤를 이었다. 교육 방식은 ‘온라인 강의’(57.6%)와 ‘짧은 모바일 교육’(19.4%)이 선호됐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도민의 정보 격차와 학습 수요가 뚜렷이 드러났다”며 “도민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평생학습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4월부터 전국 최초로 ‘경기 기후보험’을 시행해 폭염·폭우 등 기후위기 상황에 따른 도민 피해를 보장하고 있다. 보험은 별도 절차 없이 자동 가입되며, 기후특보 발령일에 기후재해로 인한 4주 이상 상해 진단 또는 열사병·저체온증, 말라리아 등으로 진단받은 경우 10만~50만원의 보험금이 지급된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누리집 또는 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