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타결, 경기도 ‘특별지원 대책회의’ 개최
김동연 지사 “불확실성 해소…피해기업 지원에 총력”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을 접한 직후 ‘경기도 특별지원 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피해기업 지원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이날 가평 수해복구 자원봉사에 참여하던 중 협상 타결 소식을 보고받고 회의 소집을 지시했으며, 자원봉사를 마친 뒤 곧바로 회의장으로 이동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논의·결정됐다.
첫째,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 추가 지원
경기도는 관세 협상 타결로 인한 시장 개방 여파로 피해가 예상되는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편성한 500억 원에 더해 총 1000억 원 규모로 확대된다. 현재까지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됐다. 업체당 지원 한도는 5억 원 이내다.
둘째,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대상 확대 검토
현재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6대 품목에 한정해 지원 중인 사업을 화장품, 의료기기 등 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업종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셋째, 관세 협상 대책 예산은 감액추경 대상에서 제외
경기도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재원 마련 등을 위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준비 중이지만, 김 지사는 관세 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 지원 예산은 감액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요하면 오히려 증액할 것을 지시했다.
넷째,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추진
이번 특별대책회의를 일회성 회의가 아닌 연속적 대응체계로 운영해 2차, 3차 특별회의를 통해 추가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경제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불확실성인데 이번 협상으로 그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며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와 K-뷰티, K-식품 등 소비재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 협상팀과 이재명 대통령이 큰 노력을 기울였다”며 “이번 협상으로 한국이 정상 외교의 길로 복귀하고 국익을 지키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이제 여와 야, 보수와 진보를 떠나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국익외교에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는 이제까지도 그래왔지만 앞으로도 국정의 제1동반자라는 자세와 각오로 최선을 다해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