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비상행동, 기후목표 수집한 시민 의견 전달

2035년까지 온실가스 67% 감축 필요성 강조··· 대통령실에 전달

2025-09-03     박준영 기자
기후위기비상행동이 시민 716명의 목소리를 모아 2035년까지 온실가스 67% 감축을 촉구하며 대통령실에 직접 전달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기후위기비상행동

[환경일보] 기후위기비상행동(이하 비상행동)은 지난 2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716명이 참여한 ‘우리 삶을 지키는 2035 기후목표’ 캠페인을 통해 모은 목소리를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이들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7% 감축으로 설정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올해 안에 2035년 NDC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해야 하며, 이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간 경로이자, 향후 기후정책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대한 기준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정부는 2035 NDC 초안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비상행동은 졸속 수립을 막고, 실질적인 국민 참여가 반영된 NDC가 수립될 수 있도록 캠페인을 전개했다. 캠페인 참여자들은 “기후위기로부터 지키고 싶은 것”이라는 질문에 ▷반려견과 산책하는 일상 ▷짧아지는 가을 ▷우리 땅에서 자란 농산물 ▷아이들의 미래 등 다양한 답변을 내놓았다. 이렇게 모인 716개의 메시지는 시민들이 지키고 싶은 삶의 가치이자, 기후위기 대응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김주온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은 “700여 장의 사진과 응답에는 삶을 지키려는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며 “이는 수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살아갈 삶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요구한 67% 감축 수치는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기후 헌법소원 사건에서 제시한 기준에 기반한다. 당시 헌재는 “감축목표는 과학적 사실과 국제적 기준에 따라 수립돼야 한다”고 결정했다.

한수연 플랜1.5 정책활동가는 “만약 이보다 낮은 목표가 수립되면, 미래 세대에 과도한 감축 부담이 전가되고, 파리협정 1.5도 상승제한 목표 달성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인철 비상행동 공동위원장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정부 임의가 아닌, 과학과 시민 참여에 기반해 수립되어야 한다”며 “국가는 시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할 헌법적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비상행동은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졸속이 아닌, 국민 기본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목표가 수립되도록 끝까지 감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