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도로공사 현장, 안전·환경 관리 ‘구멍’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발주 건설현장, 관리·감독 부실
허술한 안전 관리, 레미콘 찌꺼기 폐기물 등 분산 방치

2025-09-25     김성재 기자
 도로건설 현장 수풀 속에 방치된 건설 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경북=환경일보] 경북 경산시 자인면 북사리에서 하양읍 부호리 구간을 잇는 남북 간 도로 건설 현장에서 허술한 안전관리와 폐기물 관리 부실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제기되며, 시공사와 관리·감독 기관의 책임 있는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이번 공사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하고 H사가 시공 중인 총연장 9.8km, 왕복 4차로 도로 건설 사업으로 교량 7개소와 평면교차로 9개소 설치가 포함돼 있다. 공사 현장은 대부분 농경지와 인접해 있어, 기존 농로가 폐쇄되고 임시농로가 개설된 상태다. 그러나 임시도로와 공사장 주변에 설치된 안전시설물은 부실해 차량사고 등 안전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임시도로와 공사장 주변에 설치된 부실한 안전시설물 /사진=김성재 기자

현장 점검 과정에서는 안전보호장구조차 착용하지 않은 근로자들이 구조물 제작현장에서 작업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상 기본 안전수칙을 위반하는 행위로, 근로자 안전을 위협하는 명백한 관리 소홀이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한 각종 폐기물은 규정에 맞지 않게 여러 곳에 분산·방치된 채 수개월째 적치돼 있었으며, 일부는 수풀에 묻혀 방치 기간이 장기화됐음을 보여준다. 폐기물 더미 옆에는 안내표지판이 세워져 있었으나, 보관기간조차 표기하지 않은 ‘눈가림식 조치’에 불과해 관리 의무를 다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건설현장 바닥에 버려진 레미콘 잔여물 /사진=김성재 기자

레미콘 타설 후 남은 잔여물과 슬러지 역시 바닥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고, 현장 주변 정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본지는 현장 대리인에게 이러한 상황을  지적했으나, 그는 “일부 근로자는 타 공사현장 인력으로 잠시 휴식 중이었다”는 변명을 내놓으며, 안전시설물과 폐기물 문제는 “규정을 재검토해 보완하겠다”는 원론적 답변으로 일관했다.

공사를 관리·감독해야 할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담당자 역시 “폐기물은 용역발주처리계획에 따라 9월 중 처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하며, 안전시설물과 정리 문제는 “재차 확인 후 보완하겠다”고 답했지만, 이미 현장에서 드러난 관리 부실에 대한 구체적 대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건설 현장 주변에 널브러진 공사 잔여물  /사진=김성재 기자

정부 주무부처가 발주한 대형 국책 사업 현장에서조차 안전관리와 환경보호 원칙이 무너진 채 공사가 진행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지역 주민들은 “안전사고는 물론, 방치된 폐기물로 인한 토양·수질 오염까지 우려된다”며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안전과 환경을 위협하는 관리·감독 부재를 더는 방치해서는 안 되며, 관계 당국의 철저한 점검과 강력한 시정 조치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