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반크와 손잡고 글로벌 AI 대사 키운다
생성형 AI 오류 대응 협력, 도민 참여형 신고·보상 시스템 도입 추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와 손잡고 생성형 AI가 만들어내는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협력에 나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경기도청에서 박기태 반크 단장과 연구원 등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AI 대사’ 양성사업 추진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생성형 AI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사례들이 공유됐다. 대표적으로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으로 안내하거나, 경기도청 광교청사의 이전 연도를 2016년 혹은 2023년 등 제각각으로 표기하는 오류가 확인됐다. 또 기후소득, 버스 환승제도, 청년정책 등 도 정책에 대한 잘못된 설명과 문화유산 이미지 왜곡, 역사적 맥락 축소 사례도 다수 보고됐다.
이에 반크는 경기도 공식 누리집·SNS·앱을 통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신고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오류 신고보상시스템 도입, 도내 대학 및 민간기업과 연계한 협력 모델 구축, 경기도형 AI 검증 플랫폼 및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제안했다.
특히 청소년과 청년이 참여하는 ‘글로벌 AI 대사’ 양성사업을 통해 생성형 AI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시정하는 민간 참여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김동연 지사는 “AI 오류를 찾는 역할을 도민이 함께한다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며 “반크가 제안한 여러 방안을 바탕으로 실국별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 협력하라”고 지시했다.
박기태 단장은 “우리나라 외교관이 2000명에 불과한 상황에서 경기도가 도민을 ‘글로벌 AI 대사’로 양성한다면 전 세계에 퍼진 AI 오류를 바로잡는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데이터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도민 참여형 생성형 AI 플랫폼을 통해 행정 혁신과 정보 신뢰도 제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와 반크는 2021년 ‘독도의 날’ 간담회, 2024년 ‘청소년·청년 기후대사’ 양성 협약 등을 통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