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산불 핵심장비 도입 난항··· 드론·헬기 예산 집행 지연

산림청, 대형헬기·고성능드론 내년 확보 불투명
같은 피해 반복되지 않도록 신속 대응 필요

2025-10-29     김인성 기자
올해 3월 영남을 휩쓴 대형산불 이후, 산림청이 산불 조기 진화를 위해 계획한 드론과 헬기 도입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환경일보DB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올해 3월 영남을 휩쓴 대형산불 이후, 산림청이 산불 조기 진화를 위해 계획한 드론과 헬기 도입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옥주 의원(경기 화성시갑, 더불어민주당·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외임차 대형헬기 3대(159억원), 중고도드론 1대(5억1700만원), 일반드론 12대(5억원), 고성능드론 45대(27억원) 등 총 196억10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으나 아직 집행되지 않았다.

도입 지연의 주된 이유는 ▷성능 대비 낮은 단가 선정 ▷관련 부처와 협력 부족 ▷부실한 시장조사 및 입찰 준비로 인한 유찰이다. 이로 인해 올해 도입 예정이었던 모든 헬기와 드론이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국외임차 대형헬기 3대는 추경예산 159억원을 확보했지만 8월과 10월 입찰에 응찰 업체가 없어 사실상 도입이 어려운 상태다. 산림청은 이를 중형헬기 5대로 대체해 11월 계약, 내년 2월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추가 유찰 시 내년 봄 투입은 불가능하다.

중고도드론 도입도 지연되고 있다. 지난해 1km 이상의 고도 비행 드론 도입을 추진했으나 공군·항공교통본부 협의 지연과 기술평가 탈락 등으로 예산 5억1,00만원이 이월됐다. 1차 추경예산 36억원을 투입한 드론차량 15대와 고성능드론 45대 역시 기술평가에서 탈락해 추가 입찰이 필요하다.

산림청은 2025년 본예산 5억원으로 일반 드론 12대 도입을 계획했으나, 고해상도 드론 도입을 위한 시장조사 지연으로 구매 요청이 늦어졌다.

송옥주 의원은 “산불 대응 핵심 장비가 올해 안에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충분한 장비 없이 내년 봄을 맞는다면 같은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며 “마지막까지 헬기와 드론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