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녹색금융, 선택 아닌 생존 전략”
녹색금융협의체·기후변화센터, ESG·지속가능금융 최신 동향 공유
글로벌 전문가 3인 기조연설··· 혼합금융·실무형 ESG·공시제도 진단
[파르나스=환경일보] 기후위기 대응의 해법이 ‘녹색금융’으로 옮겨가고 있다. 탈탄소 전환과 생물다양성 회복, 지속가능한 산업구조 개편을 위한 금융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가운데 녹색 자본의 방향과 실행 전략을 논의하는 국제 심포지엄이 서울에서 열렸다. 공공·민간의 자본 협력과 ESG 데이터의 신뢰성, 기업의 책임공시 등 지속가능금융의 질적 전환이 이번 행사의 핵심 화두로 부상했다.
녹색금융의 질적·양적 확장을 위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산업·정책·투자 부문의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국제 논의의 장이 열렸다.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 아틀라스홀에서 ‘2025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2025 GREEN FINANCE/ESG INTERNATIONAL SYMPOSIUM)’이 개최됐다.
녹색금융협의체와 기후변화센터가 공동 주최하고, 지속가능금융연구소(SMRI)와 SDG지원재단이 주관했으며, 한국지속가능투자포럼(KOSIF), 뉴스1, 포스코홀딩스가 후원한 이번 행사는 올해로 5회를 맞았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은 ‘녹색 금융 시장의 확대와 다변화’를 주제로 ESG와 지속가능금융의 최신 글로벌 동향과 실행 전략을 공유했다. 행사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후금융, 생물다양성 금융, 녹색 분류 체계, 인공지능(AI) 기반 ESG 데이터 활용 등 다양한 현안을 발표했다.
본격적인 행사에 앞서 남두우 인하대 녹색금융대학원 주임교수는 개회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 전환의 중심에 녹색금융이 서 있다”며 “녹색채권, 기후 펀드, 지속가능성 연계 금융 등 기존 채널을 넘어서는 녹색금융 생태계의 진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남 주임교수는 “탄소배출권 거래, 자연자본 시장, 핀테크 기반 지속가능성, 공동체 중심의 기후 투자 등은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이 녹색금융의 확대와 다변화를 이끌 실질 전략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춘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상임이사도 축사를 통해 “녹색금융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전 사회가 실천해야 할 필수 가치가 됐다”며 “금융의 흐름이 녹색지향에서 탈탄소 실현 중심으로, 공시 중심 인프라에서 규제 중심 인프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자연 관련 금융과 생물다양성 금융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며 정책금융과 민간금융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녹색 투자와 자본 흐름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축사에 나선 이창석 국립생태원 원장은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손실은 더 이상 환경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과제”라며 “금융, 산업, 사회가 협력해 ESG를 행동으로 옮기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이 원장은 “자연자본 공시는 글로벌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국립생태원은 기업 TNFD 대응과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녹색금융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국내외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ESG 생태계 전환을 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녹색금융의 확장, 구조 전환과 책임 강화가 핵심’
이어진 기조연설에서는 글로벌 금융·환경 전문가 3인이 녹색금융의 확장 전략과 지속가능성 실천 과제를 각기 다른 시각에서 조명했다.
첫 연사로 나선 니키 캠프 싱가포르 녹색금융센터(Singapore Green Finance Center) 센터장은 아시아 지역의 녹색금융 시장 성장 잠재력을 강조하면서, 공공자본과 민간자본을 결합하는 ‘혼합금융(Blended Finance)’ 전략을 소개했다.
니키 총장은 “아시아는 연간 1.7조 달러의 녹색 투자 수요가 있지만, 재원 조달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공공·민간의 위험과 수익 기대치 차이를 조율하는 구조화된 자본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 단위 정책 목표에 기반한 플랫폼을 통해 자본을 유치해야 하며, 자본 동원의 양보다 구조 전환에 기여하는 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연사로 나선 잉마르 제겐(Ingmar Juergens) 독일 기후·정책 싱크탱크 ‘클라이밋앤컴퍼니(Climate & Company)’ 대표는 규정 준수를 넘는 지속가능금융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짚었다.
그는 “지속가능금융은 단순한 ‘녹색’ 기업이 아닌, 전환이 필요한 산업군의 변화 유도에 집중해야 한다”며 “실증적 데이터 기반 접근과 중소기업(SME) 지원, 공급망 리스크 분석 등 실무형 도구 개발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ESG 성과는 규제가 아닌 실천으로 입증돼야 하며, 금융과 산업, 정책을 잇는 ‘가교’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연사인 찰스 조(Charles Cho) 캐나다 요크대학교 교수는 ‘지속가능성 보고, 교착 상태인가 진화 중인가’라는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지속가능성 공시 시장은 규제 확대와 디지털화 등에서 진전을 보였지만, 공시 기준 간 경쟁과 정치적 개입으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유럽연합의 CSRD 공시 기준을 ‘이중 중요성(double materiality)’의 모범사례로 언급하며 “기업의 지속가능성은 재무 성과뿐 아니라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찰스 교수는 “공시는 단순한 체크리스트가 아닌, 기업의 책임성과 지속가능 전략 실행을 위한 핵심 수단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 기사 추후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