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율 증가에도 청년·신혼부부 주거 수준 악화

국토부,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자가점유율 58.4%로 상승

2025-11-17     박준영 기자
국토부가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자가율은 상승했지만 청년·신혼부부의 주거불안은 심화돼 계층별 맞춤형 주거정책이 시급하다고 발표했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지난 16일 국토교통부는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의 주거생활 전반을 파악해 주택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보유율과 주거비 부담, 주거 수준, 정책 수요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해 분석됐다.

전체 가구의 자가보유율은 61.4%로 전년 대비 0.7%p 상승했고, 자가점유율은 58.4%로 1.0%p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도 지역의 자가점유율이 66.5%로 가장 높았으며, 수도권은 52.7%로 가장 낮았다. 반면 수도권의 임차가구 비율은 44.4%로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전국 평균 6.3배로 전년과 동일했다. 수도권은 8.7배로 전년보다 0.2배 높아졌다.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도 전국 평균은 15.8%로 유지됐지만, 수도권은 18.4%로 여전히 부담이 컸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전체의 3.8%로 전년 대비 0.2%p 증가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6.0㎡로 변동이 없었으나, 청년 가구는 31.1㎡로 평균보다 좁았고, 고령가구는 46.6㎡로 가장 넓었다.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는 각각 3.03점, 3.01점으로 전년보다 소폭 상승했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청년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2.2%로 전년보다 2.4%p 감소했고, 임차 거주 비율은 82.6%에 달했다. 청년층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은 8.2%로 일반가구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고시원·비닐하우스 등 비주택 거처 거주 비율이 5.3%에 달해 주거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43.9%로 전년 대비 2.5%p 하락했고, 1인당 주거면적은 27.4㎡로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2.5%로 소폭 증가했다. 아파트 거주 비율은 73.4%로 전체 계층 중 가장 높았지만, 주택 규모는 작았다.

반면 고령가구는 자가점유율이 75.9%에 달했고,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은 2.1%로 감소했다. 자가가구의 PIR은 9.1배로 전년보다 낮아졌으며, RIR도 25.4%로 크게 개선됐다. 소득이 적은 고령층 특성상 체감 주거비 부담은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이 32.0%로 여전히 최우선으로 꼽혔다. 다만 전세자금 대출(27.8%)과 월세보조금(12.2%) 등 임차 관련 지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청년층은 전세자금 대출(40.6%), 신혼부부는 주택구입자금 대출(43.1%), 고령층은 주택개량·개보수 지원(30.6%)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했다.

2025년부터는 주거실태조사가 기존 면접 방식에 더해 비대면(웹·모바일) 조사 방식으로도 병행될 예정이다. 세부 조사결과는 17일 부터 국토교통통계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