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공단, COP30서 아시아·태평양 탄소시장 활성화 논의
IEA·ICAP와 공동 개최··· 국제협력 강화 및 행동 전환 강조
[환경일보]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브라질 벨렘에서 개최 중인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15일 ‘아태지역 탄소 가격제 및 제6조 이행: 협상에서 행동으로(Implementing Carbon Pricing and Article 6 in the Asia-Pacific Region: From Negotiations to Action)’를 주제로 한 전문가 토론 부대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환경공단과 국제에너지기구(IEA), 국제탄소행동파트너십(ICAP)이 공동 주관했으며, 일본, 인도네시아, 중국 등 아시아·태평양 주요국 정부 관계자와 국제기구 및 민간 전문가 등 약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국제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과 실행 전략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영상 개회사를 통해 “그동안 많은 국가들과 함께 이뤄낸 규칙과 협력의 토대 위에서 이제는 협상에서 실행으로, 선언에서 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탄소 가격제와 파리협정 제6조 메커니즘은 전 지구적 연대를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리 브루스 워릭(Mary Bruce Warlick) IEA 부사무총장과 디어크 바인라이히(Dirk Weinreich) ICAP 공동의장는 현장에서 축사를 통해 아태지역의 탄소시장 확대와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2025년 국제 탄소시장 동향과 현황’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국제배출권거래협회(IETA)도 ‘글로벌 탄소시장 이행’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날 패널토론에는 일본 경제산업성(METI),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CMMAI), 싱가포르의 탈탄소 전략투자 플랫폼 GenZero, 중국의 환경비영리단체 EDF(환경보호기금) 등이 참여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탄소시장 발전과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논의했다.
한편, 디어크 바인라이히 ICAP 공동의장은 “이번 논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탄소시장과 파리협정 제6조 이행이 본격적인 이행 단계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계기였다”며 향후 정례적인 협력 강화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