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 대구·안양·성동 등 9개 지자체 선정
AI 교통플랫폼부터 주민참여 플랫폼까지··· 디지털 포용성·데이터 활용
[환경일보]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대구광역시, 경기 안양시, 경기 부천시, 경기 수원시(이상 대도시), 서울 성동구, 서울 구로구, 서울 강남구, 전남 여수시, 서울 은평구(이상 중소도시) 등 9개 지자체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도시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다. 인증은 신청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도시 서비스, 기반시설 수준, 공공역량,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부여하며, 총 2000점 만점 중 70% 이상 득점 시 인증 자격을 부여한다.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대구광역시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교통 플랫폼과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안양시는 AI 동선추적 시스템과 자율주행버스 등 혁신서비스 운영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부천시는 모바일 통합플랫폼과 AI 복지콜 등 시민편의 및 복지서비스 부문에서, 수원시는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과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 운영 등 교통안전 부문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중소도시 부문에서는 서울 성동구가 주민참여 정책제안 플랫폼과 민관협력 도시운영 등 시민 참여와 거버넌스 측면에서, 서울 구로구는 보행보조 재활로봇 도입과 다중인파 안전관리 시스템 등 복지 및 안전관리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서울 강남구는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와 미래교육센터 등 기술 실증 및 체험환경 조성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올해 처음 인증을 받은 여수시는 스마트 관광, 원격검침 시스템 등에서, 은평구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여수시와 은평구를 제외한 7곳은 기존 인증 유효기간 만료에 따라 신규 인증을 신청했다.
한편, 2023년에 인증을 받은 7개 도시의 재심사도 함께 진행돼 모두 인증 연장이 결정됐다. 연장 대상은 대도시 3곳(서울특별시, 성남시, 울산시), 중소도시 4곳(대구 수성구, 서울 관악구, 서울 송파구, 서울 종로구)이다.
인증을 받은 지자체에는 국토교통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인증 동판이 수여되며, 국내외에 스마트도시 우수사례로 홍보된다.
국토교통부 윤종빈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인증을 통해 국내 스마트도시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우수사례의 국내외 확산을 적극 지원하고, 체계적인 도시 진단을 통해 지역 간 기술 격차 해소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