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의료기관 가운데 공공의료기관 5.7%에 불과
소위 갈아 넣는 시스템으로 부족한 의료인력 땜질

[환경일보] 세계적 판데믹 현상을 불러온 코로나19를 계기로 공공의료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국립공공의료대학 건설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코로나19 사태에 헌신한 의료진의 헌신에 대한 주목하면서도 다른 한편 ‘국립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 법률안’은 20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국립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 법률안’의 국회통과를 촉구했던 호남권광역의회의장단협의회에 따르면, 공공의료기관은 전체 의료기관 중 5.7%에 불과하고 의료인력 역시 턱없이 부족해 자원봉사자를 모집해야 하는 상황이며, 간호 인력은 인구 1000명당 OECD 평균 9.7명의 절반인 4.6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또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86개 시군은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위해 주민의 70% 이상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농어촌 지역 필수 의료서비스는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은 한 토론회에서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가진 문제점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부족한 의료 인력이 그 중심에 있으며, 의사인력이 부족한 이유는 의대 정원과 자격취득을 공공의 영역에서 장기간의 수급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의사집단의 판단에 맡긴 채 십수년 이상 배출 정원을 동결해 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의과대학 교육부터 수련의, 전공의 과정을 마칠 때 까지 보건의료가 가진 공공성과 공공보건의료의 중요성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과 경험을 쌓을 기회가 거의 없는 의사인력 배출과정을 가지고 있어 국립의과대학병원조차 경쟁적으로 수익논리에 빠질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의사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해야 한다는 말은 구호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의료 공공성 강화를 요구하는 이들의 핵심 내용에는 ‘의료인력 부족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3명으로, OECD 평균인 3.3명 보다 낮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3.3명, 광주 2.8명, 부산·대구·대전 각 2.7명, 전북 2.4명의 순으로 많았다.

반면 세종은 1.1명으로 가장 적고, 경북 1.7명, 인천·울산·경기·충남 각 1.8명의 순으로 적었다.

한의사를 제외한 인구 1000명당 임상 의사 수 자료에서는 서울이 2.9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대전 각 2.3명, 부산·대구 각 2.2명의 순이었다.

반면 세종이 0.8명으로 가장 적고, 경북 1.3명, 충남 1.4명, 인천·울산·경기·충북 각 1.5명의 순으로 적었다.

보건복지부가 2016년에 의뢰한 연구용역에서도 ‘의료취약지 및 공공의료기관 필요인력’은 최소 1103명에서 최대 2206명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의사수가 2030년에는 7600명이 모자라고 이 중 공공의료 부문 의사인력 2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했다.

의료인력 부족은 의료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과 의료분야의 편중을 초래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의대생이 전문의까지 되기 위해서는 8억6700만원이 필요하다.

이는 의료인이 수익이 되는 의료분야에 몰릴 수밖에 없는 요인이자 의료분야의 편중이 심각해지는 요인이기도 하다.

의료시스템 불균형의 피해가 결국 국민 전체에 돌아온다는 점에서, 당장 인구 1000명당 의사수가 9명에 달하는 쿠바의 의료수준까지는 아니어도 지금보다는 더 늘어나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의료인력 양성에 국가지원금을 요구하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 주장에 따르면, 의대 입학정원을 3058명으로 가정할 때 전공의 교육 수련비용은(2018년 기준) 1조3065억778만원으로 추계됐다. 우리나라 경제규모를 감안하면 감당할 수 있는 비용이다.

이와 관련 노동당은 “의료공공성의 확대와 안정성을 위해 전액무상으로 운영되는 공공의대 설립 및 의료공무원 분야의 신설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공공의대를 통한 의료인 양성과 의료 공무원 분야의 신설은 추후 반복될 감염병에 대한 국가적 대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 의료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없앨 수 있는 기본적인 출발점이라는 주장이다.

노동당은 “의료적 시련이 찾아올 때마다 ‘의료는 공공재다’라고 외치는 양치기 소년이 되지 않기 위해 지금 당장 실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