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숙원사업중 하나인 환경보건의 위해성 연구 등은 당초 의도와 달리, 강력 드라이브에 진통을 겪고 있다.
소수 정예요원으로 중무장된 듯 환경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환경보건 정책의 자리매김은 자칫 헛구호에 그칠 공산마저 우려된다.
국책사업을 이끌 환경보건계의 전문인력이 태부족한 데다 학계마저 미개척분야로 일컬어 지리한 행보만을 거듭할지 모를 일이다.
당국의 환경보건 정책에 대한 예산배정은 극히 미흡한 수준으로 여타 부서와 견줘 시선밖으로 밀려 취급받기 일쑤이다.
올들어 정부와 국회 등은 환경보건에 대한 심각성을 고려, 본부내 관련과를 신설해 각종 프로젝트 구성과 한걸음의 거보를 예고하고 있다.
‘환경관련 질환 10개년 계획’아래 추진하는 역점사업은 7,8명의 소수요원이 본부 환경보건계를 대신할 뿐, 전문인과 충분한 예산은 애시당초 무리수에 불과했다.
제도시행에 앞서 예방학 전공자 등 전문요원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 현실은 해외 의학계 등과의 접근성에 흠결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화학물질 관리를 독성관리에서 인체노출을 고려한 위해성 관리로 전환한 데다 환경오염으로 인해 유발되는 환경성 질환의 규명에 혼신을 더하고 있다.
국내의 내로라하는 환경보건학계의 진단은 지난 80년대 이후 환경 원로들의 발의로 가시화됐다.
이같은 추진에도 불구, 정부와 환경부의 정책실현은 다소 미흡한 수준으로 보건복지부와의 이견차 등 정작 사업추진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환경부가 추진할 환경보건 정책은 일반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 개정과 운영에 관한 사항, 신규와 기존 화학물질의 유해성 심사제도, 위해우려물질 관리사업 등이 포함된다.
게다가, 환경성 질환예방과 저감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이 발빠르게 뒤를 잇고 있다.
일련의 환경보건 정책에 대해 8월내 새로운 개선책의 신기원을 모색, 실질적인 정책수립에 나설 것으로 알려진다. 전문가들은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해 국민안전에 따른 기준평가와 국지적인 예측까지 가늠해 환경보건 정책을 매듭져야 한다고 주문한다.
국내 전문인이 100여명에 이를 만큼 아직 환경보건 정책은 걸음마 수준에 치부된다.
최근들어 새집증후군(SHS) 등 실내공기 유해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크게 고조돼 그나마 안도의 한숨을 맛볼 수 있다.
국내 환경보건 학계는 관련분야의 활성화를 통해 그동안 소외된 환경학도들의 사회진출에 청신호를 예고한다며 나름의 부푼 꿈에 젖어 있다.
나아가 환경보건 지표의 개발·관리에 관한 부단한 연구와 꿈나무 어린이 등 민간계층을 중심으로 한 보호대책 수립과 시행이 바람직하다.
반열에 오른 성공을 그리며 환경부는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과 환경위해성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진단이 쉼없이 이뤄져야 한다. 요컨대, 환경부와 정부 당국은 버거운 환경보건의 행로에 진취적인 추진과 함께 뒤늦게나마 배려와 관심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