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빅데이터 이용해 농업순환경제 이뤄야

기후위기와 농촌인구의 고령화는 농업방식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도전으로 여러 국가들이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면적과 일조량 등 대부분의 농업조건이 우리나라보다 열악한 나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865억 달러에 달하는 농산물을 수출하는 전세계 2위 수출대국이다. 그 배경에는 스마트팜이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노르트홀란드 주에는 2006년 간척지위에 조성된 세계최대 첨단온실단지 ‘애그리포트(Agriport) 7’이 있다. 균등한 빛 분포가 용이한 이중스크린이 설치됐고, 모든 것이 컴퓨터에 의해 조정되고 통제된다.

환경오염과 에너지비용문제 해결을 위해 지열난방 시스템을 통한 친환경 난방, 빗물을 이용한 친환경 리싸이클링 등 첨단기술들이 도입됐다.

네덜란드의 농업정책방향은 환경과 자원을 보존하는 농업순환경제로 집중된다.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생산량은 우리보다 2배 이상 많다.

일본은 대표적인 고령화 국가다. 20년 넘게 농촌인구는 하향곡선을 그리고, 농사지을 땅은 많은데 농사인구는 없다는 고질적 문제를 겪고 있다.

그런데 자율주행 무인 트랙터 등을 이용한 농업시스템관리가 도입되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다. 첨단기술들이 장착된 장비들이 넓은 논을 자로 잰 듯이 정확하게 관리하면서 하루 42,000㎡ 이상 경작이 가능하게 됐다.

한 토마토 농장은 병충해 예측기술이 없어 경험과 발생현상을 토대로 대처했지만 스마트팜 도입 후 데이터를 기초로 사전 예측과 예방이 가능해 생산량을 극대화했다. 일본의 스마트팜 시장은 2023년엔 2020년 대비 2배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

스마트팜의 장점은 먼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수량과 품질 개선, 최적의 생육환경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작업 편의성도 크게 높였다.

스마트팜은 인공지능을 통해 의사결정과 작업지시까지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통해 비닐하우스 상황을 파악하고 원격제어가 가능하니까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과일의 크기와 당도 등을 일관되게 제어할 수 있어 연중 균일한 생산이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빅데이터 또는 누적 데이터를 통해 기후위기로 인해 오락가락하는 날씨에 대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을 연결하면 다른 스마트팜들의 데이터를 상호 활용할 수도 있다.

물론 스마트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초기 시설투자비가 수천만~수억 원 정도 필요하다는 부담이 있다. 농사 외 설비, 컴퓨터 프로그램 등 관련 지식에 대한 지속적 학습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스마트팜은 반드시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 한반도가 더워지고 있다. 기후위기가 점점 더 심각해지면서 예전 같은 노지 농사는 위험이 크다. 농촌의 주력 인구인 노인들이 예전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것도 한계에 달했다.

스마트팜은 지속가능한 농업이다. 인공지능·빅데이터·사물인터넷으로 스마트팜이 활성화되면 낭비되는 물 없이, 환경오염 없이 과학적 영농이 가능하다. 농업은 힘들고, 위험하다는 인식을 경제적이고 매력적인 분야로 바꿔보자.

정부는 앞선 ICT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팜을 상용화하도록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