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28일 ‘기후에너지 시대의 기업 경영’ 전략을 주제로 포럼이 열렸다. <사진=박미경 기자>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오랜시간 진통을 겪어왔던 배출권거래제 시행을 한달 여 앞두고 새로운 시대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결국 배출권거래제 시행은 재생에너지 분야를 활성화시켜 新산업으로 육성하고 기후 에너지 시대를 이끌 방편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이 11월28일 ‘기후에너지 시대의 기업 경영 전략’을 주제로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EEWS 포럼 2014’를 개최했다.

 

EEWS 포럼은 ‘에너지(Energy), 환경(Environment), 수자원(Water),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관련 기술을 경영에 적용하는 것과 관련해 전문가 그룹의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2011년부터 KAIST EEWS 연구센터 주도로 개최돼 환경 관련 전문가들과 기업 관계자, KAIST 교수진 등이 참석해 왔다. 올해는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과 KAIST EEWS 포럼, EEWS 연구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KAIST 이재규 녹색성장대학원장, EEWS포럼 현치웅 공동회장, 녹색성장위원회 이승훈 위원장, 한국거래소 강기원 부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재생에너지 보편화 사회 도래할 것 

▲ 산업통상자원부 문재도 제2차관

이날 특별연설을 맡은 산업통상자원부 문재도 제2차관은 “에너지의 변화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한다”며 “미국 경제학자이자 미래학자인 제레미 리프킨의 주장처럼 우리 사회는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한계비용 제로사회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차관은 “이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보편화되는 사회를 말하는 것”이라며 에너지 신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에너지 신산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약점인 자금은 녹색기후기금(GCF)을 이용하고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통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 기후대기국 최흥진 국장은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배출권거래제에 있어 우리나라는  2020년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0%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며 “전세계 99개국이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으며 주요 경쟁국 목표대비 우리나라의 목표는 적정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등은 연이어 Post 202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있어 신기후체제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2020년 이후 적용할 신기후체제인 Post 2020은 유럽 등 선진국에 대해서만 감축의무를 부과한 교토의정서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선진국, 개도국 모두가 참여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을 좀 더 강화시킨 것이다.

 

최흥진 국장은 “향후 우리는 Post 2020 감축목표 수립과 GCF활용을 통한 성장의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학연 중심 전문인력 양성

▲(좌측부터) 환경부 기후대기국 최흥진 국장,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김정인 교수


탄소배출권거래제의 국제 동향 및 연계방안을 발표한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김정인 교수는 “한국-일본-중국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만들어 중장기 동북아시아의 저감목표를 도출하고 3개국이 표준화한  온실가스 보고 검증제도(MRV)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정인 교수는 “산학연 중심의 동아시아 배출권거래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기업지원을 위한 녹색 은행 설립, 한중일 국제 기구의 설립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AIST 녹색성장대학원 김상협 교수

이번 포럼의 전체 진행 및 패널토의 좌장을 맡은 KAIST 녹색성장대학원 김상협 교수의 진행으로 전문가 및 산업계의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거래소 일반상품시장부 정석호 부장은 “1월 배출권 시장 개설을 앞두고 현 단계에서는 시스템 개발을 마치고 400개 기업이 모의 시장을 개설해 거래 연습을 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기에 안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 이경훈 부사장은 “기후변화의 문제는 지속가능성과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며 “에너지와 효율은 다 경쟁력이며 가치 창출보다도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기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고 취지는 공감하지만 기업 목소리를 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 주제발표 후 패널토의가 이어졌다. (좌측부터) 서울대학교 법학부 조홍식 교수, 한국거래소 일반상품시장부 정석호 부장,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 휴켐스 최금성 부사장, 포스코 이경훈 부사장의 순이다.

<사진=박미경 기자>



기업은 여전히 부담, 지원체계 필요해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배출권거래제의 본래 목적은 재생에너지 분야의 투자를 늘리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한계비용 제로사회라는 3차 산업혁명에 잘 부합된다”라며 “기업들은 부담으로만 느낄 것이 아니라 잘 수행하도록 돕는 제도로 인식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서울대학교 법학부 조홍식 교수는 “기후변화의 문제는 돈의 문제만은 아니다”며 “우리 사회가 지향점을 가지고 어떤 사회로 나아가야 하는지 방향을 담고 있는 당위의 문제다”고 강조했다.

 

배출권 거래시장에 먼저 뛰어든 휴켐스 최금성 부사장은 “국내에서 시도된 적이 없었기에 추진의 어려움을 겪었다”며 “기술확보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했지만 투자 결과 연간 220만톤 정도의 온실가스 저감 능력을 가지게 돼 뉴욕시장에서 거래를 했다”고 설명했다.

 

최금성 부사장은 “한국의 배출권거래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참여하는 회사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며 “또한 해외에서 이미 참여해왔던 기업들이 국내로 이전 가능한 등록시스템이 구축돼 국내시장에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glm26@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