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대한민국은 반드시 이뤄야 할 국민적 염원이다. 오랜 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통일 대한민국을 꿈꾸며 땀흘려왔다. 그러나 남북관계에서 환경은 가장 드러나지 않는 후순위로 인식된다. 심각한 수준의 환경문제에도 불구하고 북한엔 자체 해결능력이 없고 대외 지원과 협조도 여의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북한 정부는 나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재정악화와 관련 정책 및 시스템 미비 등으로 환경오염 측정이나 모니터링도 어렵고 국가환경계획을 제대로 수립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북한은 산림황폐화, 하천 기능 저하, 홍수, 가뭄 등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상태다. 정수 시설도 턱없이 부족해 깨끗한 물조차 제대로 마시지 못하고 심지어 장티푸스 등 수인성 질병의 확산으로 생존마저 위협받고 있다. 북한의 환경문제는 저개발국가에서 경제위기와 더불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전형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도와주겠다고 손을 내밀어도 남북간 화해 분위기 조성과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 한 협력은 영화 속 이야기에 불과하다.

환경문제는 미루면 미룰수록 복구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 파괴가 식량 부족, 질병, 재해 등으로 이어지는 북한의 현실을 고려하면, 남북간 환경협력은 인도적 차원에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 북한 전역에 걸친 민둥산은 극단적 상황에 놓인 북한의 환경과 생태계를 의미하지만 더불어 남한에도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될 시급한 과제라고 엄중히 경고하고 있다.

북한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풀어가기 위해서는 환경을 별개로 분리하지 말고 에너지와 물에 대한 대안을 찾으면서 환경과 생태계, 산림복원을 패키지로 묶는 통합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본다. 남한은 석유, 유연탄, 가스, 원자력 등 다원화된 에너지를 수급하고 있는데 비해 북한은 무연탄, 수력발전 중심이다. 북한의 에너지 공급량은 남한의 4.4%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북한은 열효율도 낮고 경제성도 없는 석탄과 계절변화에 민감한 수력에 의존하는 자급자족형 경제의 한계 때문에 에너지 설비는 러시아,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한반도와 동북아를 잇는 송전, 송유 연결망을 구축해 북한의 에너지공급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그동안 남한은 북한에 DMZ세계생태평화공원 등 여러 차례 환경협력을 제안했지만 북한은 부정적이거나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우리는 북한을 협상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방법 모색에 더 노력해야 한다. 남북한 신뢰구축과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해 남북간 창구와 국제기구를 통한 창구를 모두 열어야 할 것이다. DMZ와 백두대간을 포함한 한반도 그린벨트에서 중국, 몽골, 러시아를 거쳐 유럽 그린벨트로 연결하는 ‘유라시아 그린벨트’ 건설도 북한환경을 위해 추진해야 할 중요한 사업이다. 남북한 온실가스감축(CDM) 협력사업도 본격화해야 한다. 남북협력에 정부 간 노력과 더불어 국민적 관심이 보다 더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