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_2136_01316
[환경일보 정윤정 기자] 서울 시내가 100년만의 폭우에 무방비 상태로 뚫렸다. 언론과 시민단체에서는 ‘무방비 도시’가 된 서울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고, 소 잃고 나서야 서울시의 치수대책에 대한 뒤늦은 점검을 하고 있다. 재산과 인명 피해를 입은 시민들의 서러움이야 말로 다할 수 있으랴.

 

안타까운 것은 지난해 추석에 100년만의 폭우로 광화문 일대가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었는데, 일 년도 채 못돼서 이제는 강남이 처참하게 피해를 당했다는 것이다. 해마다 일어나는 100년 만의 폭우라니. 한 재해대책 전문가가 이제는 국가 자연재난 대책의 규모는 ‘예상 가능한 피해를 넘어서는’ 초대형 재해를 대비해야 한다고 했던 말이 실감나는 순간이다.

 

그런데 예상 밖의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라고 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점들이 많다. 오세훈 시장의 시정을 살펴보면 디자인 서울을 기치로 한 한강 르네상스, 청사 개조 등 전시성 행정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한데 비해 치수대책 비용은 2009년 10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66억원까지 줄었다. 2005년에는 자그마치 수해방지 예산만 641억원에 달했다.

 

우면산의 생태공원 조성으로 인한 지반 약화로 인해 전원마을 일대가 참사를 당한 것도 충격을 금할 수 없지만 강남 한복판이 물에 잠겨 시민들의 재산과 인명에 막대한 손해를 끼친 이번 사태에 대해 서울시는 깊이 돌이켜봐야 할 것이다. 시정의 기본에는 하수시설과 방수시설과 같은 보이지 않는 기반시설에 대한 점검 및 투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yoonjung@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