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날에는 피부병이 대체적으로 심해진다. 특히 안면부에 발생되는 피부병일수로고 쉽게 악화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지루성피부염,여드름, 주사, 모낭염 등의 피부질환은 모두 구진이나 피진 등과 같이 피부조직이 볼록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피부융기현상이 발생할까.

경희피레토한의원 강재춘원장은 가려움증, 피부질환완치법, 피레토세라피(출판사, 메디칼북스)에서 대부분의 피부질환들은 “심부온도의 저하에 의한 피부온도의 상승 결과”로 발생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세포는 온도, 습도, 압력, pH, 약물, 환경여건 등에 의해 세포가 쉽게 손상을 받게 된다. 이때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내에서의 ATP 발생량이 줄어들어 심부온도(Core Temperature)가 낮아진다.

 

이때에 체온조절중추인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는 모공을 손발끝에서부터 먼저 닫게 되고 이후에 식사, 운동, 과도한 업부 등으로 몸속에서 다시 열에너지가 발생할 때, 그 발생된 열에너지는 구멍이 있거나 마찰이 많은 부위인 얼굴로 쏠려서 방출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이때에 눈,코,귀,입이 있는 얼굴, 상체부위로의 피부온도가 상승되면서 피부발적, 염증, 발진, 홍조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며 피부표면에서의 장력이 약해질 때 압력과 밀도가 낮은 피부 밖으로 밀어내는 힘은 반대로 강해진다는 것이다. 이때에 피부융기현상인 구진, 피진, 뽀루지, 농포 등의 증상까지 나타나서 다양한 피부질환으로 발전한다는 설명이다.

그리하여 상기질환들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낮아져 있는 심부온도를 높이고, 높아져 있는 피부온도는 낮추고, 닫혀져 있는 모공은 열어주는 치료를 해야 전신으로 골고루 열에너지가 분산, 방출되어 상체부위로의 열쏠림이 사라져 피부병이 근본적으로 낫는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피부온도가 높다고 세포열에너지대사를 억제하는 약물의 사용은 오히려 모공을 더 닫게 되어 복용하다가 약을 줄이거나 중단하게 되면 더욱더 악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피부질환 치료시 주의사항으로는 첫번째,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온도를 높여선 안 된다는 것이다. 즉 맛사지나 레이져 시술을 피하는 것이 좋다.

둘째, 열이 많다고 생각하여 선풍기, 에어콘을 쐬는 것, 추운 겨울에 추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항산화제, 보존제, 방부제 등 식품첨가물이 들어간 음식을 조심해야 한다.

음식물의 분해를 억제하게 되면 열발생량은 줄어든다. 먹었던 음식에서 열발생량이 줄어들면 심부온도는 낮아지고 피부온도는 높아져 피부병은 더욱더 심해진다는 것이다.

ksh@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