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시민행동, 기자회견 열고 정부 핵진흥 정책 비판

[환경일보] 체르노빌 원전사고 38년을 맞아 25일 탈핵시민행동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추념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기자회견은 탈핵시민행동 활동가를 비롯해 약 20여 명이 함께 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시작하기에 앞서 38년 전 그리고 지금까지도 체르노빌 핵 사고로 피해를 보고 있는 수많은 생명을 기억하며 잠시 묵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번째 발언자로 나선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양기석 신부는 체르노빌 핵사고 이후 작년에 핵발전소 완전 폐쇄를 이룬 독일의 사례를 이야기하며 탈핵을 윤리의 문제임을 제기했다.

또한, 그는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생각해서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생명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으며, 그 계기점으로 체르노빌 38주년을 언급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38년을 맞아 25일 탈핵시민행동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추념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녹색당
체르노빌 원전사고 38년을 맞아 25일 탈핵시민행동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추념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녹색당

두 번째 발언자로 나선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이상현 활동가는 현 정부의 핵 진흥 정책을 비판하면서 전 세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수립하고 있는 것에 완벽히 역행하는 현 정부의 정책을 비판했다.

또한, “끊임없는 성장과 개발을 위해서 책임질 수도, 감당할 수도 없는 원전에 손대는 대신에,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생산할 수 있는 만큼만 에너지를 소비하는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으자”라고 호소했다.

밀양 765㎸송전탑 반대 대책위 남어진 활동가는 밀양 송전탑 반대 과정과 그리고 현재까지 싸우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더불어 “곧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노후 원전 수명 연장과 신규 핵 발전소 추가 건설이 포함될 것으로 보이며 밀양이 함께 연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38년을 맞아 25일 탈핵시민행동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추념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녹색당
체르노빌 원전사고 38년을 맞아 25일 탈핵시민행동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추념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제공=녹색당

마지막 발언자로 나선 녹색정의당 김찬휘 대표는 “RE100으로 인해 재생에너지를 하지 않으면 수출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핵발전소는 이미 경쟁력을 잃었으며 위험한 핵폐기물을 안고 사는 것이 아니라 깨끗하고 안전한 재생에너지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탈핵시민행동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핵발전 확대는 핵 위험을 늘릴 뿐더러 기후재난의 위협 또한 가속하는 것이며, 법제도를 바꾸고 세제 혜택까지 쏟아붇는 핵 진흥 정책으로 나아지는 것은 핵 산업계일 뿐 핵발전소 지역 주민들의 삶은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라며 “진정한 민생은 탈핵”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방진복을 입은 참가자들이 ‘수명연장 NO, 신규건설 NO’의 손피켓을 드는 퍼포먼스로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