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실험서 병원성 곰팡이류 살충률 90%··· 내년 야외 실증 실험

[환경일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최근 시민 불편을 초래했던 붉은등우단털파리(이하 러브버그)에 대해 유기농업자재를 활용한 친환경 방제제의 실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방제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러브버그는 유충 시기에는 분해자, 성충 시기에는 화분매개자로 알려진 익충이다. 그러나 지난 여름, 서울 은평구 백련산과 인천 계양구 계양산 일대에서 대량 발생하면서 등산객과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러브버그가 집중 발생한 백련산과 계양산을 대상으로 유충의 서식 분포를 조사하고, 유통 중인 친환경 방제제를 활용한 실내 방제 효과 실험을 병행했다. 조사 결과, 러브버그 유충은 두 산의 등산로 주변, 능선, 정상부 등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곤충 병원성 곰팡이류 기반 방제제를 유충에 처리한 경우 약 3주 후 살충률이 약 90%에 달했으며, 식물 추출물 기반 방제제는 6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보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실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 상반기 러브버그 성충 활동 시기 이전에 친환경 방제제의 야외 실증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최적의 방제 시기와 약제 처리 방법 등을 함께 수립할 예정이다.
박용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실내 실험과 야외 환경은 조건 차이가 존재하므로 추가 검증이 필요하지만,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러브버그 방제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